제14회 하쿠현학술상 수상자 이재민 명예교수
제14회 학현학술상 수상자로 선정된 이재민 연세대 명예교수가 29일 오후 서울 마포구 공덕동 한겨레신문에서 인터뷰에 앞서 사진 촬영에 동의하고 있다. = 신소영 기자 //한겨레신문
“19세기 말 한국이 실패한 이유는 우물물처럼 세계 정세에 무지했고, 군사력이 매우 약했으며, 정부와 정부에 대한 내부 분열이 심했기 때문이다.” “군력은 약화됐지만 정치는 여전히 내부적 단결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제14회 학현학술상 수상자로 선정된 이재민 연세대 명예교수(74)가 29일 서울 마포구 공덕동 한겨레경제사회연구소에서 연설하고 있다. 그는 지난달 인터뷰에서 “현재 한국은 미국과 중국이라는 두 강대국이 패권을 놓고 경쟁하면서 국제질서가 지각변동을 겪고 있는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고 말했다. 17일 “19세기(명청전환기와 조선건국)와 19세기(제국주의 침략)이지만 2차, 3차 실패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말했다.
수상 경력이 있는 영문 저서 한국의 경제 개발: 성장과 변곡 과정에서 이 교수는 전통 사회부터 최근까지 한국 경제의 변화와 발전 과정을 분석하고 평가했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경제 발전은 경제 분석만으로는 이해될 수 없습니다. 역사, 정치, 사회 등 다른 학문을 포괄하는 학제간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며 “변화의 맥락에서 설명하려고 했지만 너무 어려웠다. 그리고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다”고 후회했다. .
심사위원단은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장기 경제발전을 둘러싼 세계적 학술논쟁의 맥락에서 한국의 경제발전을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판단했다. 최근 장기 경제 발전에 관한 연구의 주요 주제 중 하나는 근대 이후 유럽과 아시아 간 격차가 점점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사 전문가인 시카고대 케네스 포머란츠 교수는 이와 관련해 '대분산(Great Divergence)' 개념을 제시했다. 또한 이 교수는 20세기 이후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발전에 주목하며 '대수렴' 개념을 제시했다. 이 교수는 “유럽의 식민지였던 나라 가운데 유일하게 선진국이 된 나라는 한국뿐이다. 우리도 중국을 대수렴의 길로 나아가는 한 단계로 바라보아야 한다”며 “서유럽이 수세기 동안 이어온 지배력을 무너뜨리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고, 나는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의 경제 발전을 바라보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그의 편지 배경.
그의 영문 저서 '한국의 경제 발전…'에서
전통사회의 경제적 변혁과정에 대한 고찰
식민지가 선진국이 된 배경을 살펴보다
“패권갈등 시대 역사의 교훈”
“정부는 물가 불안정을 통제하기 위해 통화 긴축 조치를 도입했습니다.”
정부 지출을 줄이고 세금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비록 한국이 조기 산업화를 이루지 못하고 식민지화에 실패했지만, 일제강점기에 남겨진 기반시설과 산업화 경험이 1960년대 이후 고도 경제성장을 이룬 한국에 이런 유산을 더해준 요인이었다고 그는 말했다. 1950년대 냉전시대 대부분의 신생독립국가들과는 다른 경제체제를 구축했다. 대부분의 신생 독립국가들이 제3세계 사회주의나 민족주의를 추구하며 경제적 발전에 실패한 반면, 한국은 자본주의의 길을 따랐다. 이러한 상황에서 박정희 정부는 국가의 역량을 강화하여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고, 고도의 경제성장이 시작되었다. 다만 이 교수는 “이 모든 것이 일제 식민통치와 분단, 전쟁, 박정희 독재정치의 어두운 면과 함께 온다는 점을 균형 잡힌 시각으로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또한 한국이 어려움 속에서 시작한 급속한 성장을 '지속'할 수 있는 능력이 한국의 성공에 대한 더 중요한 이유라고 본다. 그는 한국이 잦은 위기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과정을 거시경제적 관리, 구조적 변화, 사회적 갈등 관리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설명할 예정이다. 이 교수는 거시경제 경영의 예로 1979년 위기 극복을 들었다. 우리나라는 1960년대부터 지속된 물가불안과 외채위기, 2차 석유파동, 대통령 암살 등이 겹쳐 심각한 위기에 빠졌다. 공원.
이재민 연세대 명예교수 = 신소영 기자/한겨레신문
“1979년 위기는 1997년 외환위기보다 훨씬 심각했지만 전두환 정부에 의해 통제됐다. 가격 불안정으로 인해 경제학자들은 안정화 조치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이로써 사태는 진정됐고 대외채무에 대한 두려움도 일본에서 40억 달러(경제협력자금)를 차입해 해소됐다. 이어 “당시 일본은 돈 빌려주기를 꺼려 한국은 냉전의 최전선에 서서 막대한 국방비를 부담해야 했지만 일본은 무임승차자였고 미국에 돈 빌려주기를 거부했다”고 말했다. ” “그는 레이건 정부가 일본에 압력을 가하도록 설득했다”고 말했다.
그는 1979년 외환위기와 달리 1997년 외환위기의 원인을 국제질서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데 있다고 본다. 이 교수는 “당시 외환위기는 일본 은행들이 사정으로 인해 한국 은행에 빌려주던 단기자금을 갑자기 빼냈기 때문에 발생했다”며 “위기 이후 일본(AMF)은 위기 상황에서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들의 철수를 시도했으나 미국의 거센 반발로 실패했다. 미국은 냉전 종식에 따라 미국 경제의 주도권이 금융 부문으로 이동하고 미국의 패권 성격도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반대했지만 한국은 이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윤석열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해 “물가 불안을 억제하기 위해 통화 긴축 조치를 취하는 가운데 재정정책은 지출을 줄이고 증세하는 긴축 정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세금 감면은 “적절하지 않고 성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서울대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하버드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경제개발학회 회장과 경제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문재인 정부 시절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을 역임하며 정책 자문을 하기도 했다.
곽충수 선임기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email protected]로 문의)
DK가 번역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