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의 저울, 미투 6년”(전편)
한국의 클립아트 //한겨레신문
2018년 1월 29일 창원지검 통영지청 서지현 검사는 검찰 인트라넷 ‘아이프로스(IPROS)’에 ‘희망한다’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했다. 검찰 내부의 폭력 추행 사건과 비리 인사에 대한 재판 사실이 기록됐다. 미투(MeeToo)의 시작이었습니다. 많은 여성들이 감옥에서 겪었던 성폭력에 대해 증언하고 연대감을 표명했다. 6년이 지난 오늘, 한겨레는 초심으로 돌아가 서지현을 만났다. 서지현의 7차례 재판과 이후 법정까지 올라간 미투 사건을 살펴보며 법원의 변화와 한계를 조명한다.
“법률의 미투 6년” //한겨레신문
2018년 1월 29일, 서지현 검사가 시작한 대한민국의 미투 운동은 성폭력 피해를 입은 여성들에게 많은 여성들을 격려하고 힘을 주었습니다. 이러한 효과는 캐나다 요크대학교 보건과학대학 김청아 연구원 등 연구팀이 2022년 5월 6일 미국 공중보건저널에 ‘사회운동과 한국 여성의 정신’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게재하면서 입증됐다. 성폭력 생존자들’이라는 내용이 <헬스, 2012~2019>에서도 드러났다. 본 연구는 서지현의 첫 미투 전후 여성 성폭력 생존자의 우울 증상 척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여성가족패널조사에 참여한 19세~50세 여성 4,429명을 분석한 결과, 성폭력 이력이 있는 여성의 경우 포스트미투 우울증 증상척도(CESD)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에서는 1.64포인트 하락이 확인됐다. 이는 소득소득 0.23점 감소, 결혼 0.76점 감소, 학위취득 1.6점 감소보다 우울증상 완화에 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우울증 증상 척도는 0~3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증 증상이 심한 것을 의미한다.
연구자들은 미투 운동이 사회적 낙인과 성폭력 피해자를 비난하는 문화를 줄이고, 다른 온라인 성폭력 생존자들에 대한 연대와 지원을 조성했으며, 성폭력 신고와 법적 구제를 더 쉽게 할 수 있게 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고용주의 성폭력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노력으로 이어졌고, 그 결과 성폭력 생존자의 우울 증상이 감소했다.
연구원들은 또한 “사법 체계의 실패는 징벌적 피해를 증가시키고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경찰이나 법원이 피해자에게 기소를 취하하거나 동의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가해자가 명예훼손으로 고소당할 것을 두려워하는 경우가 그 예입니다.
정환봉 기자 ([email protected])
옮긴이: H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