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34 km entlang der Grenze zwischen Nordkorea und China fahren]
신야옥강대교라고도 불리는 조선-중국 야옥강대교는 중국 최대 국경도시인 단둥과 북한 최대 국경도시인 신의주를 연결하는 다리다. 22억 2천만 위안(미화 3억 4천만 달러) 규모로 양국을 연결하는 가장 길고 최신의 육교입니다. – 이제훈 선임기자 //한겨레신문
(1에서 계속)
신의주 조청안옥강교는 언제 개통되나요?
신압록강대교라고도 알려진 조선-중국 압록강대교는 중국 최대 국경도시인 단둥과 북한 최대 국경도시인 신의주를 연결한다. 중국 정부가 22억2000만 위안(3억4000만 달러)을 들여 건설한 4차선 대형 현수교(길이 3,016m)로 양국을 연결하는 가장 길고 최신의 보행자용 다리다. 이 건설은 2009년 10월 원자바오 중국 총리가 방북하면서 합의한 것이다. 2010년 5월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방중 당시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 ‘경평(압록강 하류) 및 위화도 경제지대’에 관해 합의했다. 창립과 함께 “김정일의 중국식 개방 의지”(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의 상징이다. 김정일이 만년에 후계자인 김정은에게 남긴 국가생존전략이 중국식으로 개방된다는 것을 상징하는 물리적 실체이다.
아사카-얄녹강 교량 건설은 2015년 가을에 완료되었지만 8년여가 지난 2023년 10월까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버려지지 않을 것이다. 다리 남단 신의주 쪽에는 10층짜리 주거용 건물 10여 채가 새로 들어섰는데, 단둥 소식통은 “관용차량이 다리를 건너가는 경우가 가끔 있다”고 말했다. 4년 만에 이곳에 온 한 북한 연구자는 “변화를 바라지만 변하지 않은 북한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다”고 말했다. 북한 해방의 이정표.
지안에 있는 북한 식당 ‘묘향산’과 ‘압록강 국문경루’에는 남측 주민 출입이 금지됐다.
2016년 1월 중국 국무원은 단둥시와 함께 지린성 연변조선족자치주를 ‘지역 관광협력지역’으로 지정했다. 지린성 압록강과 두만강을 따라 접경 지역에 위치한 지안(吉an), 장백(長白), 투먼(土文), 훈춘(春春)시는 관광객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실제로 오지의 관광지를 찾는 한국인 관광객에 대한 ‘규제’는 날로 엄격해지고 있다.
길림성 지안시에 있는 유일한 북한 식당인 미오샹산은 부유한 중국인과 조선인들이 자주 찾는 인기 식당이다. 중국 주요 도시의 많은 북한 식당이 평양 요리를 전문으로 하는 반면 묘향산은 자강도 성도인 지안시에서 압록강 건너편에 있다. 이는 ‘에사카이 요리’를 통해 두각을 나타내는 전략을 세운 강가에 출신 그룹 덕분이다. 그러나 한국인은 묘향산의 강사카이 요리를 즐길 수 없습니다. “무단 침입 금지”정책이 있습니다. 북한 여성요원들이 묘향산 공연에서 자주 부르는 북한 노래 ‘만나서 반가워요 동포여’에는 ‘동포’, ‘형제’라는 단어 속에 조선족 동포들이 언급된다. 단, 한국인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야그린은 중국 지린성 지안시와 압록강 중류 국경도시, 북한 치장성 만포시를 잇는 국경지대에 위치해 있다. 한국인은 강국문 청로에도 올라갈 수 없습니다. 이는 지안시 정부가 외국인의 도시 출입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곳을 자주 오가는 지안 출신의 한 택시기사는 “입장료 60위안을 내고 국문명승에 올라 만포를 보고 싶어하는 한국인 말고도 외국인도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물었다. 연변에서 오랫동안 여행사를 운영해 온 한 교포는 “이게 다 윤석열 회장 탓”이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건만포 철교는 중국이 공식적으로 한국전쟁 참전을 결정하기 전인 1950년 10월 11일 북한을 침공한 정찰부대 이야기와 관련이 있다. 이 때문에 압록강변의 국문 경화타워에서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최초의 반미 원조 전달’ 광고를 내놨다. 만포 보행교는 해방 후 북한이 중국과 북한 국경에 건설한 유일한 다리이다. 그러나 김정일, 김정은 시대에도 공사는 계속돼 2016년 완공됐다.
북한 화물열차가 자강도 야옥강 철로를 따라 운행하고 있다. 화물열차 뒤에는 ‘식량부족’을 상징하는 ‘개인 농장’과 최근 심은 나무들이 보인다. “ – 이제훈 선임기자 //한겨레신문
압록강과 두만강을 따라 있는 철조망 울타리
2023년 9월, 북-중 국경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압록강과 두만강의 접근을 막고 있는 철조망이다. 2020년 1월 말,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으로 인해 국경이 폐쇄된 후, 국경은 더욱 촘촘해지고 높아졌습니다. 끝없이 이어진 철조망이 중국 쪽은 녹색, 북한 쪽은 무채색이다.
중국 지방자치단체들은 강변에 ‘조화로운 국경을 건설하자’는 문구가 적힌 팻말을 내걸었습니다. 중국 당국은 ‘문명화된 국경 주민’이 ‘불법 밀수와 아편 판매에 따른 불법 범죄 행위를 금지’, ‘한국 측에 물건을 던지는 것을 방지’, ‘관광객이 사진을 찍는 것을 방지’ 등을 준수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한국군이 만드는’, ‘국경선’. 지역 주민들이 국경을 넘지 못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연변 훈춘시 방천 등 많은 사람이 모이는 국경 지역의 유명 관광지에는 ‘여기는 국경 지역이다. 국경 너머에 있는 사람들을 도발하거나 사진을 찍지 마십시오.” “무인 항공기 및 기타 부유물은 해당 지역으로 비행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습니다.”라고 한 배너가 적혀 있습니다. 강이 좁아지는 국경마을 입구에는 ‘불법으로 국경을 넘는 사람을 신고하면 2000~20000위안’이라는 보상금이 적힌 현수막이 걸려 있다.
요컨대 중국측 철조망은 단순히 탈북, 밀수, 밀수(북한의 제재를 위반한 행위)에 관한 것이 아니라, 반대편 북한측에서 도발적으로 편집한 영상을 정치적으로 비판하는데 이용되는 것이기도 하다. 북한. 한국 및 중국 유튜버들이 해당 사이트에 접근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돈을 버는 것을 방지하는 만능 차단 장치입니다. 연길에 거주하는 한 한국인 사업가는 “국경 지역에서의 밀수 단속은 매우 엄격하다”고 말했다. ‘더 높고 더 많은 철조망’은 1992년 8월 한·중 국교 정상화 이후 전통적으로 북한의 ‘후진지역’이었던 중국 동북부 지역이 ‘정치적으로 위험지대’가 됐다는 통념에 대한 단속이다. 중국 정부는 이제 같은 것을 요구하는 북한에 동조하고 있다. 압록강과 두만강을 끼고 있는 북-중 접경지대에서 한국인은 ‘정치적으로 문제가 있는 존재’다.
북한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으로 꼽히는 양강도 압록강 주변에는 농촌 전체를 복구하기 위한 공사가 진행 중인 지역이 많다. 재개발 지역이 마을의 풍경을 바꾸고 있습니다. (이제훈 선임기자/한겨레신문)
(3일에 계속)
단동/훈춘/이제훈 선임기자 (문의 [email protected])
옮긴이: H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