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투자계획을 정부에 전달했다. 정부는 대규모 물류센터 건립을 추진했다. 국내 유통업체들이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했다. 국내 인재에 블랙홀이 생길까 봐 걱정됐다.
중국 직구 서비스 알리익스프레스의 모회사인 알리바바그룹이 한국 시장에 1조5000억원을 투자한다. 동시에 한국 경쟁업체의 의류 전문가를 채용하는 등 국내 유통 인력을 적극적으로 채용하고 있다. 알리바바의 목표는 축구장 25개 규모의 대규모 통합물류센터를 구축해 쿠팡의 로켓배송에 버금가는 빠른 배송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이것이 국내 유통산업 생태계에 지각변동을 가져올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1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알리바바그룹은 최근 향후 3년간 11억 달러(약 1조원)를 투자하겠다는 사업계획서를 한국 정부에 제출했다. 알리바바그룹은 알리익스프레스의 모기업이다. 현재 기준으로 홍콩과 뉴욕 증시에 모두 상장돼 있으며 시가총액 500조원에 이른다. 중국에서는 타오바오, 티몰을 운영하고 있으며, 글로벌 사업으로는 알리익스프레스, 동남아시아를 타겟으로 하는 라자다, 터키의 Trend Yole 등이 있다. 정부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한 주체는 모기업 알리바바그룹인 것으로 분석된다. 직접구매 서비스에 주력하는 알리익스프레스 외에 국내에서도 더욱 폭넓은 사업을 영위하게 된다는 뜻이다.
먼저 알리바바그룹은 올해 2억달러를 투자해 한국에 종합물류센터를 건립할 계획이다. 면적은 18만제곱미터(약 54,450핑)로 총 25개의 축구장을 갖췄다. 쿠팡 최대 물류센터인 대구물류센터의 절반이다.
물류센터 건립은 알리바바가 한국 시장을 더욱 직접적으로 공략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지금까지 알리바바의 한국 사업은 한국 소비자가 중국 시장 판매자로부터 직접 물건을 구매하는 ‘직접 구매’ 중심이었다. 물류센터가 구축되면 기존의 항공, 배송을 활용한 직접구매 서비스 제공은 물론, 국내에서 직접 물품을 구매하고 판매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쿠팡 등 국내 전자상거래 업체와 사업 범위가 직접적으로 겹치게 된다. 알리바바가 물류센터 확대를 통해 쿠팡의 로켓배송처럼 익일배송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소비자들의 국내 전자상거래 이탈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승찬 용인대 중국학과 교수는 “쿠팡과 네이버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알리바바가 소비자를 유인하려면 ‘로켓배송’ 버전을 내놓아야 한다”고 내다봤다. Alibaba가 빠른 배송을 시작하면 더 많은 고객이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
알리바바는 한국 셀러들의 글로벌 판매를 돕기 위해 1억 달러(1300억 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우수한 한국상품 발굴을 위해 조달(구매)센터를 구축하고, 수출 플랫폼 역할을 할 판매채널도 올해 6월 오픈한다. 알리익스프레스 외에도 동남아시아 라자다, 스페인어권 미라비아 등 알리바바 산하의 다른 전자상거래 기업에도 한국 제품 판매 채널을 확대할 계획이다. 알리바바는 이번 조치를 통해 3년 내 국내 중소기업 5만여 곳의 수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알리바바그룹이 1조 단위 투자 계획을 포함한 사업계획서를 제출한 이유에 대해 최근 범정부 차원에서 중국 전자상거래를 억제하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즉, 한국 시장이 어려움을 겪은 후, 이전에 비판받았던 소비자 보호 대책을 도입한 것이다. 알리바바는 국내 소비자 보호를 위해 1000억 원을 투자하고 전문 컨설턴트 300명을 갖춘 고객서비스센터를 공식 개설한다는 계획이다. 직접 구매한 상품의 경우, 사유에 상관없이 구매 후 90일 이내에 100% 환불해 드립니다.
알리바바그룹은 “아직 구체적인 계획을 공개할 수는 없지만 한국에 대한 투자를 계속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도 한국 현지 셀러와의 협력과 소비자 보호, 중소기업 진출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규모의 기업을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시키다.”
또한 국내 경쟁업체들이 인재를 유치하면서 알리바바는 유통업계의 인재 블랙홀로 거듭나고 있다. 알리바바는 최근 의류 분야 전문 인재 채용을 늘렸다. 이는 알리바바가 운영하는 패션홀에 국내 브랜드의 진출을 허용해 시장점유율을 높이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업계에서는 알리바바의 행보가 지그재그, 에이블리 등 결합 패션 플랫폼은 물론, 무신사, W콘셉트 등 브랜드 기반 패션 플랫폼에도 위협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제로 11번가, 티켓몬스터 등 국내 오픈마켓에서 근무하던 패션계 MD(상품기획자)들이 잇달아 알리바바로 이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패션업계 관계자는 “최근 위기에 처한 일부 패션 플랫폼이나 오픈마켓에서 점차 알리바바에 인력을 옮기고 있다”고 말했다.
알리바바는 지난달부터 패션 전문가를 모집해 다양한 직위를 찾고 있다. 뷰티, 생활용품 등 관련 분야 전문가 유치에도 힘쓰고 있다.
특히 채용 과정에서 ‘한국 시장 셀러 및 파트너로부터 구매 경험이 있다’는 요건을 내세웠는데, 이는 국내 브랜드의 진출을 늘리고 타 플랫폼 및 오픈마켓과 경쟁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됐다.
이전에는 저가의 중국산 제품을 주로 판매했으나, 최근에는 국내 브랜드까지 제품군을 확대해 다양한 가격의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플랫폼 내 ‘K-베뉴’ 카테고리에서는 한국 제품을 판매하고, 패션 전문관 ‘A.패션’에서는 국내 유튜버들과 협업한 콘텐츠도 전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