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언론들은 하마스 묘사에 맞서 ‘보도 원칙’을 지키기 위해 투쟁하고 있다.
지난달 7일 하마스의 공격으로 파괴된 이스라엘 남부 키부츠 크파르 아자. = 크파르 아자/로이터/연합뉴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의 사망자 수가 1만명을 넘어섰다. 3일 기준 가자지구에서는 9061명, 이스라엘에서는 1400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탈출구 없는 상황이 한 달 넘게 지속되면서 전쟁 관련 정보를 유포하는 공개 토론장까지 혼란이 확산됐다. 소셜 미디어에서 허위 정보가 확산되고, 허위 정보가 상존하는 가능성에 더해, 언론 용어가 합의되는 밑바닥에서부터 불꽃이 튀고 있습니다.
가장 문제를 일으킨 언론은 영국 BBC다. BBC는 지난달 7일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한 이후 하마스를 ‘팔레스타인 무장세력’이라고 불러왔고, 이는 참사로 이어졌다. 영국 정부와 야당 정치인들은 “하마스는 테러단체이므로 테러리스트로 지정해야 한다”며 공영방송을 압박했다. Board, BBC 표기원칙이 철회되었습니다.
BBC는 자체 편집 지침에서 ‘테러리스트’라는 단어가 독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보다는 이해에 방해가 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BBC 인터내셔널 뉴스의 존 심슨 편집장은 지난달 11일 “테러리즘”은 도덕적 판단을 담고 있는 용어라며 “누가 누구를 지지하고 비난해야 하는지를 지시하는 것은 BBC의 역할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말했다. 심슨 씨는 이 원칙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에 맞서 사용됐지만 성공하지 못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프랑스 노동조합연맹(CGT)과 시민들이 2일 프랑스 툴루즈에서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공습을 규탄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툴루즈/AFP/연합뉴스)
미국 CNN, 폭스뉴스 등 앵커들이 하마스를 테러리스트 집단으로 언급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서구 언론은 ‘테러리스트’라는 단어에 거리를 두려고 한다. 테러리스트는 정치적인 정의이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의 중동 부국장 샤인디 레이스는 “하마스가 테러에 연루되어 있지만 훨씬 더 큰 정치 조직”이라고 말했다. 나는 그것을 설명하려고 노력한다.”
지난달 28일 프랑스 통신사 AFP는 BBC와 비슷한 이유로 자국 정치인들로부터 질책을 받은 뒤 “편견 없이 사실을 보도한다는 우리의 사명 때문에 우리는 운동이나 개인, 집단을 엉터리로 묘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9·11 테러(2001년), 파리 테러(2015년),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모스크 테러(2019년) 등 AFP 역시 자체 기자들을 테러리스트에 의해 살해한 사건과 함께 ‘아니요’라는 장문의 설명문을 냈다. 탈레반, 이슬람국가(IS) 등. 나는 이것이 내가 거기에 있을 때 따랐던 규칙이라고 썼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의 역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거의 없는 한국에서는 거의 모든 언론이 무장단체, 무장정파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현지 취재력이 약하고 서구 언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한국 언론의 아킬레스건은 용어보다는 오보의 위험성이다. 민주연설시민연합의 모니터링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에는 ‘하마스 어린이 참수’, ‘가자지구 알 아흘리 병원 폭발 사건’ 등의 사건이 경합을 벌이는 등 잘못된 정보가 많았다. 뉴스 속보를 위해. 혼잡했어요
친이스라엘 시위자들이 2일 미국 뉴욕 맨해튼 길 건너편에서 팔레스타인 지지자들을 상대로 반대 시위를 벌이고 있다(뉴욕/AFP/연합뉴스)
중동 지역 연구 전문가인 서강대 유로메나 연구소 박현도 교수는 3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현재 이번 전쟁은 양측 간 심리전이 벌어지고 있다. “각자는 상대방의 단점을 비난하려고 한다. 널리 퍼져 있다”며 언론에 “자세한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박 교수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 관한 모든 이야기를 정확하게 보도해야 한다. 편향된 판단이 우세해지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박강수 기자 ([email protected])
번역 석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