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 “코리안 디아스포라”
존 조, 저스틴 전, 스티븐 연, 정이삭이 기자간담회를 갖고 있다.
6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KN씨어터에서 열린 특별전 ‘한인 특별전: 코리안 디아스포라’ 기자간담회를 마친 후 배우 존 조(왼쪽부터), 저스틴 정 감독, 스티븐 연, 정이삭 감독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연합뉴스
“미국에 있을 때 각자의 일로 바빠 함께 모이지 못했던 재미교포 동료들을 한국 부산에서 만날 수 있게 되어 정말 기쁩니다.” (저스틴 정)
현재 미국에서 가장 바쁜 영화인 중 한 명인 배우 존 조, 스티븐 연과 정이삭, 저스틴 전 감독이 함께 무대에 섰다. 이들은 막판까지 어려운 준비를 하며 모국에서의 재회를 위해 열심히 노력했으며, 지난 5일과 6일 이틀간 진행된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 특별전 ‘코리안 디아스포라’에 참가해 만났다. 공개.
네 명의 감독과 배우는 백인이 지배하는 미국 연예계에서 편견에 맞서며 경력을 쌓아 최근 눈에 띄는 성과를 이룬 대표적인 재미교포들이다. 2021년에는 배우 윤여정이 오스카상을 수상한 영화 ‘미나리’를 정이삭 감독이 연출했고,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된 넷플릭스 드라마 ‘비프’에 스티븐 연이 주연을 맡았다. , 한국계 미국인 2세의 삶을 자세히 묘사한 작품입니다. 2018년 존 조는 주류 할리우드 스릴러에 아시아 배우 최초로 주연을 맡은 영화 ‘서치’로 큰 성공을 거두었고, 저스틴 전 감독은 애플TV의 가장 성공적인 영화 ‘파칭코’ 등의 영화를 연출했다. .” 다양한 드라마와 영화에 연출과 주연을 맡아 할리우드 한인 이민자 역사를 세우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스티븐 연은 6일 부산 해운대구 KN씨어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재미한인들이 제작한 작품이 많은 공감을 얻어 기쁘다. 차이를 인정하고 모든 사람의 거리감을 존중하지만 동시에 우리 모두가 연결되어 있음을 알려주는 대중 문화 세계의 큰 변화입니다. 이는 디아스포라 생활을 하는 사람들에게 격려가 될 것입니다.
정이삭 감독은 “할리우드에서 우리 세대에는 롤모델이 없었다. 우리 부모님 세대에는 영화 일을 하는 사람이 거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영화 일을 하겠다고 했을 때 우리는 강하게 반대했어요. “비슷한 어린 시절을 보내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경력을 쌓은 이민자 2세들의 이야기가 많은 사람들에게 강하게 울려 퍼지는 이유는 한국인이 아니더라도 뿌리를 내리지 못한 듯한 느낌을 주기 때문입니다. “그런 환경에서 살아가는 사람(이민자)이 점차 늘어나고 있기 때문인 것 같아요.” 저스틴 전 감독도 “이민자 이야기는 자기 섬에 살고 있다고 생각하는 현대인들에게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준다. » 인도와 아르메니아 사람들이 보고 나면 “저도 같은 생각이에요”라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스티븐 연이 주연을 맡은 드라마 <비프>는 이민자들의 삶을 현대인들이 보편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주제로 풀어냈다는 점이 너무 좋습니다. 에게. »
배우 존 조는 지난해 자신의 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인종차별과 이민자 소년의 정체성 사이의 갈등을 그린 소설 ‘트러블메이커’를 썼고,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을 소재로 소설 ‘트러블메이커’를 집필했다.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을 소재로 한 이민자 소년의 인종차별과 정체성 사이의 투쟁을 묘사한다. 전날 열린 배우하우스 행사에서 존 조는 “어렸을 때 부모님이 한국계 미국인을 대상으로 SAT(미국 대학 입시)에서 만점을 받았다는 신문 기사를 보여줬다”고 말했다. 나를 꾸짖으며 왜 그렇게 할 수 없느냐고 물었습니다. 대부분의 한인 이민자 2세들은 이런 이야기를 듣고 자라면서 늘 자신이 완벽하지 않고 틀렸다고 생각하며 살아간다. 좀 더 솔직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완벽해요. 그렇지 않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고, 그래서 책을 쓰기로 결심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문학계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저는 그들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
존 조는 “영화의 중심이 오랫동안 독점해온 할리우드에서 다단계 산업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한국영화의 성장세는 좋은 예이다. 그는 “한국영화가 국제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고, 한국 콘텐츠의 위상도 높아져 이제 한인 영화인들이 혜택을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나는 예술가로서 문화적 격변의 시대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싶다.
부산/김은현 선임기자 (문의 [email protected])
상업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