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징용 문제 등을 둘러싸고 한일 갈등이 미궁에 빠져 있다. 그런 상황에서도 우리는 일본의 입장을 어느 정도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년 전 일본 기업에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을 요구한 한국 대법원 판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나는 1965년 한일 손해 배상 협정을 국가 간 배상이 본질적으로 종료된 것으로 보았습니다. 대법원이 강제징용 피해자 개인의 청구권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고 법적으로 판결한다 하더라도, 문재인 정부는 국가 차원에서 정치적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반면 일본은 한국을 상대로 반도체 부품 수출 규제를 가해선 안 됐다. 이는 명백한 경제보복이었다. 한국의 일본제품 불매운동도 부적절하다. 일본과 한국은 북한, 안보,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해야 하며, 국교를 단절할 수는 없다.
-일본은 한국에 대한 불신이 강해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가 무효화됐다.
아베 신조,
-한일 관계는 역대 최악인가?
나는 그것이 최악의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위기 이전에는 매년 1,000만 명이 일본과 한국을 오갔습니다. 젊은이들은 실제로 서로의 나라를 방문하는 경험을 통해 더욱 가까워집니다. 일본과 한국 모두 정치인에게는 문제와 책임이 있습니다. 양국 갈등을 국내 정치와 지지율을 위해 이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나
-문 정부는 남북화해정책을 추진해왔다.
지난 10월 10일 조선로동당 창건 75돌을 맞아
김 위원장은 하향식 의사결정을 선호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합의에 나설 것으로 기대했다. 바이든 씨는 상향식 접근 방식을 취해 국무부 등 관련 당국이 정한 정책을 시행할 가능성이 높다. 북한이 핵을 포기하기 전까지는 협상에 응하지 않고 강경하게 대응할 것이다.
한국이 계속해서 평화의 메시지를 보낸다면, 북한이 조만간 변화할 것이라고 기대해서는 안 됩니다. 북한의 속도를 수용하고 잘못을 지적하지 않는다면 우리의 화해정책은 효과가 없을 것이다.
김석우[1945년충청남도출생서울대학교를졸업했습니다한국외교부에입사하여게이오대학교에서훈련을받고일본과미국대사관에서근무했습니다김영삼정부후반기인1996년부터1998년까지외교부아시아관장통일부차관을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