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러시아, 북한은 연합 이상이지만 동맹 이하입니다. 북한이 러시아와 화해하려는 목적은 무엇입니까?

2023.9.11

회사

사진: AP/아프로

최근 러시아와 북한이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 가장 최근에는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이 9월 4일 “북한은 러시아의 이웃”이라며 러시아가 북한과 합동군사훈련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리는 동방경제포럼에 맞춰 9월 10일 러시아를 방문했다. 전 세계 언론은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 가능성을 보도하고 있다. 미국을 대하는 데 있어서 중국과 함께 단결해야 할 두 나라가 얼마나 가까워질 것인가?

국제적 틀이 없는 동아시아

러시아와 북한이 얼마나 가까워질지는 일본을 둘러싼 안보 환경을 먼저 고려해야 한다. 오늘날 대만 사태를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갈등은 돌이킬 수 없는 국면에 이르렀다. 현재 3기 집권 중인 시진핑 정부는 대만의 통일을 ‘표준’으로 자리매김하고 대만을 태평양 확장을 위한 군사 최전선으로 자리매김하려고 노력했습니다. 미국은 중국을 경계하며 대만을 ‘방파제’로 활용해 중국의 해양 확장을 견제하려 한다. 윤 정부 출범 이후 한국은 초점을 일본과 미국으로 옮겼다. 그 결과, 북한에 맞서는 일본, 미국, 한국의 단결은 그 어느 때보다 강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북한의 태도는 더욱 강경해졌고, 남북관계는 급속히 악화됐다.

더욱이,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와 서방의 관계는 물론 악화되었습니다. 또 러시아는 9월 3일 사할린과 에토로푸섬, 쿠나시르섬, 시코탄섬 등 북부 지역에서 일본에 대한 승리를 기념하는 행사를 열었다. 러시아는 2023년부터 서방과 함께 일본의 제재 강화를 기념하기 위해 9월 3일을 ‘제2차 세계대전 종전의 날’에서 ‘군국주의 일본에 대한 승리와 제2차 세계대전 종전의 날’로 바꾼다. 통제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동아시아는 강대국 갈등의 진원지라고 할 수 있으며, 지역적 문제를 지역적으로 해결하려는 ASEAN이나 EU와 같은 국제적 틀은 존재하지 않는다.

러시아, 중국, 북한의 단결은 미국을 상대할 때 큰 이점이 있습니다.

이런 안보환경에서는 미국과 갈등을 겪고 있는 국가들이 손을 내밀고 협력하기가 쉽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응하여 일본, 미국, 한국은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과 북한은 이를 암묵적으로 인정하고 대신 러시아와의 경제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에너지 부문에서도요. ing. 미국과 입장이 같은 러시아, 중국, 북한으로서는 정치, 경제, 군사 분야에서 각자의 단결을 강화하는 것이 큰 이익이 될 것입니다.

현재의 북한과 러시아의 화해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며, 양국 상황을 잘 아는 전문가들에 따르면 러시아는 북한으로부터 무기 등 지원을 받고, 북한은 러시아로부터 식량지원을 받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각 나라마다 각자의 목표가 있고 두 나라가 윈윈(win-win)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입니다. 앞으로 미중, 미-러 갈등이 격화되는 만큼, 북한과 러시아, 북한과 중국의 3국 합동군사훈련이 더욱 현실적인 선택이 될 것이다.

단결보다 더, 동맹보다 덜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중국, 러시아, 북한에 비해 일본, 미국, 한국과 같은 상황을 상상해 본다. 그러나 중국과 러시아, 북한은 일미동맹이나 한미동맹 등 공통의 가치와 전략을 공유하는 영구적인 군사동맹을 형성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제 전 세계의 군사 동맹은 상호 방어를 기반으로 합니다. 예외적으로 일본과 미국의 동맹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일방적 방어 체제입니다(일본 정부는 집단적 자위권에 대한 제한적인 권리를 인정했지만).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유는 우크라이나가 상호방위체제인 나토(NATO) 회원국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군사동맹이라 하더라도 상호방위는 당연히 필수는 아니다. 중국과 러시아, 북한이 군사동맹을 맺더라도 그 내용은 차후 논의를 거쳐 결정될 것이다. 그러나 3국은 아직 공통 전략을 갖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오늘날의 러시아는 군사적, 재정적 자원을 우크라이나 전쟁에 집중할 수밖에 없으며 한국이나 대만의 우발적인 상황에 참여할 능력이나 의지가 없습니다. 북한도 마찬가지다. 적은 남한이고, 한반도 밖의 어떤 것에도 관심이나 자원이 없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국은 일관되게 군사적 개입 자세를 보여주지 않았지만, 이는 시진핑 정부의 최대 경쟁자가 미국이고 유럽 분쟁에 군사 개입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중국, 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접근과 협력은 서로의 핵심 밖에 있으며 서로를 적합한 파트너로 본다고 말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가까운 장래에 이 분야에서 가능한 최대 규모의 군사 협력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Elite Bos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