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34 km entlang der Grenze zwischen Nordkorea und China fahren]
에산시는 압록강 상류에 위치한 료고국의 성도로 강둑을 따라 오래된 가옥과 창고가 늘어서 있고 언덕을 따라 새로 지어진 고층 아파트가 늘어서 있습니다. – 이제훈 선임기자 //한겨레신문
(2에서 계속)
도야마 공원과 켄가 유료 망원경
압록강과 두만강을 비롯한 북·중 국경 전체를 관광명소로 만들려는 노력은 중국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만이 아니다. 국경지대에 사는 중국인들도 돈을 벌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
한국 길림성 장백자치주 압록강 상류 백두산 남쪽 기슭에 영광탑(국가문화재로 지정)이라는 발해시대 벽돌탑이 있다. “). 1988년 중국 국무원은 “중요 유물 보호 단위”를 결정했습니다. 도야마 공원이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건너편에 양강도 성도인 혜산시가 한눈에 보인다. 물론 에이산시를 가장 잘 볼 수 있는 타산공원에 사업가가 있는데 고배율 망원경 3개를 설치해 20위안으로 15분 동안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많은 사람들에게 요구하는 가격은 망원경 사용에 대한 요금이 됩니다. 자본주의적 계산방식이다.
오전 시간 두만강변 최대 무역 창구인 훈춘 환허 국경 검문소 옆 중국인 노점상도 철조망 옆에 망원경 5대를 설치하고 개당 3위안의 요금을 부과했다. 반대편 은행에서 북한 라선시 원정리를 자세히 살펴보려면 돈을 내야 한다. 취안허~위안정리 간 4차선 도로는 중국 국무원이 지정한 ‘경제협력 접경지대’인 훈춘과 공동 개발·관리하는 경제특구인 ‘나선경제무역구’를 연결하는 유일한 도로이다. 정부는 북한과 중국이다. .
장백현의 한 한국인 택시운전사는 “에이산시가 먼저 개방됐더라면 그곳 주민들은 우리보다 더 잘 살았을 것”이라며 “중국은 개혁과 조기 개방의 길을 택했다”고 말했다. “고마워요.” 북한의 척박한 산과 가난한 국경마을. 이것이 아마도 대조되는 풍경을 만들어내는 원동력 중 하나일 것이다.
에이커와 중국 사이의 두만강을 따라 가장 큰 무역 지점인 훈춘시 취안허 국경 교차점의 중국 노점상들은 철조망 옆에 망원경 5대를 설치하고 개당 3위안의 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북한 나선시 원정리로 향한다. 맞은편 해안을 자세히 보고 싶다면 돈을 내야 한다. (이제훈 선임기자) //한겨레신문
호가와, 북한·중국·러시아 3국의 복잡한 계산
북중 국경은 서해와 접해 있는 야옥강 하류에서 시작하여 두만강 하류의 반천과 두만강리에서 끝나지만 동쪽으로는 닿지 않는 1,334㎞의 국경선이다. 바다. 동해에 도달하려면 중국이 북한을 연결하는 ‘조러 우호의 다리(철교)’를 건너 조선과 러시아 국경의 두만강을 따라 약 15~17km 더 전진해야 한다. 한국의 투멘강리(Tumengangri)와 러시아의 하산(Hasan). 그래야합니다. 중국은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60만 평방킬로미터에 달하는 해안 지방을 러시아 제국에 빼앗긴 뒤 오늘날까지 동해로 통하는 길을 열지 못하고 있다.
북중러 국경통과지는 나선시 두만강리와 방천 앞을 흐르는 두만강(북위 42도 25분, 동경 130도 38분 11.9초) 중류에 위치한다. 훈춘시(가운데)와 하산(로). 위치와 마찬가지로 세 국가에 대한 계산도 복잡하고 차별화되어 있습니다. 러시아는 물론 북한도 중국의 발트해항 입항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중국 하룡시가 함경북도 남평~청진을 연결하는 왕복 4차선 고속도로(84km)를 건설하려는 계획에 북한이 동해항 도로를 개설할 것인가. 북-중 압록대교 개통과 마찬가지로 북-중 관계와 북한의 개방을 위한 벤치마킹 역할을 하겠다는 의도다.
중국 길림성 훈춘시 방천시 용호탑에서 본 두만강과 북·중·러 국경 1334km의 동쪽 끝, 북·중 국경선 수석기자 이제훈 //한겨레신문
김정은 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9월 13일) 다음날 카자흐스탄 알마티에서 만난 러시아 사업가는 “이제 너희(남한)는 우리의 친구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김정은이 내 친구라는 사실은 영화에서보다 더 드라마틱하고 비현실적인 상황 전개”라고 조롱했다. 옌지에서 만난 중국의 한 국제정치학자는 “김정은은 러시아와의 군사협력과 중국과의 경제협력이라는 새로운 병행노선을 선택한 것 같다”며 “북·중·러 삼각협력이 남북러 협력으로 이어질지. 현실 여부는 본질적으로 중국의 결정에 달려 있다”며 “중국은 아직 미국과 전면적인 대결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는 삼각협력에 대한 중국의 의도가 복잡하다는 뜻이다.
이런 상황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20일(현지시각) 제78차 유엔 총회 종합토론연설에서 “러시아의 군사합의는 자국의 안보와 평화를 직접적으로 겨냥한 도발”이라고 말했다. 공화국.” 한국.” 이렇게 한다고 비난했다. 그는 나중에 북한을 ‘동포’, 러시아를 ‘외국’이라고 언급하며 북한에 대한 적대감을 강조했다. 중국과 맞서며 지난 30년간의 북방정책의 성과를 파괴하고 러시아를 적으로, 북한을 ‘주적’으로 보는 윤석영 정부가 평화의 길을 찾길 바란다. 한반도의 평화와 남북한의 공동번영. 그것은 계란을 보면서 시간과 밤을 묻는 것처럼 무의미할 수 있습니다.
단동/훈춘/이제훈 선임기자 (문의 [email protected])
옮긴이: H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