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itrag]윤석영 정부는 왜 점점 우파 극단화되는 걸까? : 사설/칼럼 : 한겨레일본

윤 정권의 우경화는 민주화 이후 증폭된 반발의 힘이 오늘날의 양극화·대립 정치에서 더욱 강력해지며 국민의 심장까지 파고드는 과정이다. 우리는 이러한 현실에 저항하고 한국사회의 민주주의와 도덕적 가치를 수호해야 한다. 동시에 우리 사회는 어떻게 극우파의 성장을 허용했고, 문제는 무엇인지 자문해 보아야 한다.

신진욱 |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윤석열 총장이 15일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 강당에서 열린 제78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 청와대 포토그룹 //한겨레신문

윤석열 정권이 날이 갈수록 우경화되고 있다는 우려와 함께, 그 실체와 배경, 의미를 정확히 파악해야 할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정부가 다음 세 가지 요건을 충족할수록 ‘우익 극단 정부’라고 말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첫째, 집권자들은 공개 성명을 통해 우익 극단주의 논리를 퍼뜨린다. 둘째, 우익 극단주의 인사들이 국가 기관의 요직을 차지하고 있다. 셋째, 정부는 우파적 원칙에 기초한 정책을 개발하고 있다. 생각해보면 윤석영 정부는 극우 극우인가? 우리는 이것이 대체로 사실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담론적으로 보면 현 정부는 정치적 반대자들을 ‘반국가 세력’, ‘적세력’, ‘북조선 충성세력’, ‘공산주의자’로 공격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지만, 이는 민주화를 지지하는 핵심 원칙이다. 사회. 이는 합의를 훼손하는 행위입니다. 이들의 권한은 경제사회노동위원장, 과거사위원회 위원장,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등 공공기관 장부터 국토부 등 중앙 부처 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통일부, 명예부, 국방부, 문화체육관광부. 우익 극단주의 인물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공공기관에 대한 이념적 통제, 노동계와 시민사회단체, 비판언론에 대한 이념적 공격, 극우세력과 정부의 긴밀한 유착 등이 담겨 있어 상황도 심각하다.

윤석열 정부는 왜 이런 우익의 길을 택하는가? 총선 전략이나 대통령의 지지자들 결집 성향 등 합리적인 해석이 많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한국 사회와 정치에서 극우 세력이 점차 세력을 키워가는 역사적 과정과 그에 따른 현재의 정치 지형을 이해하는 것이다.

우선, 윤 정부의 극우 정책은 단지 어리석고 시대착오적인 코미디가 아니라, 민주화 이후 수십 년 동안 지속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엄청난 반발의 현장이라는 점을 솔직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있어야합니다. 독재정권 붕괴 이후의 정치적, 사회적 변화에 대한 강한 반발은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났다.

첫 번째 반발은 민주화 직후에 일어났다. 이때 조선기독교총연맹, 조선자유연맹 등 많은 우익단체들이 결성되어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네트워크와 자원을 확대해 왔다. 두 번째이자 더욱 심각한 반발은 김대중, 노무현 정부 때 일어났다. 냉전시대의 반공주의와 신자유주의, 근본주의 기독교 세력이 대규모로 조직되어 집단행동을 하고 사상을 체계화했다. 이러한 우익 운동은 위기의식에서 출발했지만 행동주의와 주요 사회 개혁 계획으로 무장했습니다. 이 호전적 우익세력은 이명박·박근혜 정부 들어 권력의 중심으로 옮겨갔다.

보수정부는 촛불투표와 국민 75%의 지지로 탄핵으로 끝났지만, 곧이어 세 번째 큰 반발이 일어났다. 김대중·노무현 정권 때보다 훨씬 더 적대적이고 폭력적이었다. 우익 대중은 인터넷을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정치 집회를 위해 모였습니다. 반북, 반좌파, 반복지, 반노동자, 반여성단체 등 다양한 전선에서 반발이 일어났다. 이렇게 1차, 2차, 3차 반발을 거치는 과정에서 한국사회에는 의미 있고 의식적이며 활동적인 극우세력이 형성됐다. 지금 윤석열 정권의 권력무대에서 춤을 추고 있는 이들이 바로 이들이다.

그러므로 윤 총장이 자신의 정신세계를 반공, 자유주의 구호로 가득 채우고 신구권 투사들을 공직에 임명한 데에는 구조적 배경이 있다. 이는 현재 극우가 한국 보수정치의 지적, 인적 자원을 장악하고 있다는 뜻이다. 보수주의자들은 극단주의를 억제할 만큼 정교한 이데올로기적, 운동적 세력을 창출하지 못했고, 그 결과 극우가 그들의 자격과 능력에 완전히 모순되는 너무 많은 권력을 갖게 되었습니다.

보수 엘리트들은 이런 극우 정치를 우려하기도 하고 거리를 두기도 하지만, 결국에는 이를 받아들이고 옹호한다. 이는 주로 진보세력이 권력을 갖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 보수는 진보와 함께하거나 경쟁하면서 보편적 가치를 옹호하기보다는 보수 권력이 보장되도록 극우에 권력을 맡기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생겼습니다.

보수와 극우의 이러한 연합을 이끄는 원동력은 오늘날의 양극화되고 분열적인 정치입니다. 윤 정권의 양대 권력인 검찰과 극우세력은 국민을 응징하고 공격하는 데 가장 능숙한 집단이다. 검찰과 극우 정당이 보수의 수호자가 될 수 있는 구조적 환경은 혐오의 정치다. 탄핵 당시 결성된 보수-진보 촛불시민연합이 무산된 것은 안타깝다.

요컨대 윤석열 정부의 우경화는 민주화 이후 강화된 반발의 힘이 오늘날의 양극화·대립정치에서 더욱 강력해져서 선진국가의 심장부에까지 닿는 과정이다. . 우리는 이러한 현실에 저항하고 한국사회의 민주주의와 도덕적 가치를 수호해야 한다. 동시에 우리 사회는 어떻게 극우파의 성장을 허용했고, 문제는 무엇인지 자문해 보아야 한다.

//한겨레신문

신진욱 |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문의 [email protected])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1111317.html한국어 원본 텍스트 입력: 2023년 10월 8일 오후 7시 24분
DK가 번역함

Elite Bos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