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종식 이후 미중관계의 저자 김재철 교수.
미·중 관계는 지난 30년 동안 타협에서 타협/경쟁, 경쟁으로 진화해 왔다.
“미국과 중국의 ‘극단적인 경쟁’ 의지가 불분명하다.”
한국은 미국과 중국의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가톨릭대 김재철 교수 //한겨레신문
이어 “현재 한국 정부는 미국과 중국의 경쟁이 심화되고, 서로 다른 두 진영이 등장하고, 미국 중심의 진보 진영이 승리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대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직면. 결과적으로 중국 정책은 한미동맹 강화 필요성이라는 전체 변수에 비해 부차적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나는 이것이 성급하고 과도한 결정론에 기초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책 ‘냉전 종식 후 미중 관계: 타협에서 경쟁으로’는 1990년대 초 클린턴 행정부부터 현 바이든 행정부까지 지난 30년간 미중 관계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지난달 사회평론아카데미라는 책을 낸 가톨릭대 김재철 교수의 말이다.
20년간 미중관계를 연구해온 김 교수는 저서 ‘중국과 세계: 국제주의, 민족주의, 외교정책'(2017)으로 한국정치학회 학술상을 받았다.
최근 저서에서 그는 타협(클린턴과 GW 부시 미국 대통령 시절)부터 타협과 경쟁이 공존하는 복잡한 상태(오바마 대통령)까지 지난 30년간의 미·중 관계를 조사하고 있다. 경쟁 (트럼프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 분석 결과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시 시대까지 미국 주도로 양국이 타협에 합의했고, 경제적 상호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이러한 추세가 더욱 강화됐으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타협뿐 아니라 경쟁으로의 전환도 나타났다. 저자의 평가에 따르면 이것도 형성되었습니다. 중국은 경제위기에 빠진 미국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면서도 동시에 국제정치무대에서 미국에 지지 않으려는 태도를 보여 변화를 가져왔다는 설명이다. 이는 미국의 중국 전략에 영향을 미쳤다. 이 ‘복잡 국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경쟁 국면에 돌입해 중국을 압박해 우위를 확보하려 한다. 바이든 시대에는 과학기술 제재와 대만 문제 압박 등으로 경쟁 전략을 체계화하려 하고 있다. 이는 탈냉전시대의 종말을 의미한다고 분석한다.
김재철 교수 신작 『냉전 종식 이후 미중관계 – 타협에서 경쟁으로』(사회평론학원)/한겨레신문
김 교수는 지난 6일 이메일 인터뷰에서 미중 관계가 협력에서 경쟁으로 전환되는 가장 큰 요인은 “시진핑 시대의 중국은 자신감을 강조했고, 트럼프는 이를 국내정치에서 강조한 것”이라고 말했다. ‘”. 바이든은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경쟁 정책을 성문화했지만 이것이 트럼프 시대보다 양국 관계가 더 악화됐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본다. “경쟁이 더욱 분명해졌음에도 불구하고 바이든 행정부는 ‘경쟁관리’를 강조해 트럼프 시대에 비해 양국 간 갈등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
김 교수는 저서에서 트럼프 행정부나 바이든 행정부 모두 중국과의 경쟁의 의미와 목표, 그리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명확히 밝히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그렇다면 김 교수에 따르면 중국과 경쟁하는 바이든의 전략적 목표는 무엇인가? “현실적으로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에 대해 유리한 세력 균형을 추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즉, 우월한 세력을 확보함으로써 중국을 ‘강한 위치’에 놓을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시민권의 한계를 인식하기 위해서다.” 바이든 행정부는 동맹국들을 동원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미국의 경쟁을 중국의 성장과 부상을 통제하려는 시도로 본다. 이는 미국 패권에 대한 투쟁을 강조하고 유엔과 ‘국제법에 기초한 국제질서’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미국 국제 리더십의 정당성을 훼손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이러한 답변은 미국 경쟁이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그는 이어 “미국과 중국이 서로 다른 진영을 형성해 극한의 경쟁을 벌이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는지, 그렇게 해도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말했다. 냉전이라면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고, 그 동안 예상치 못한 사건이나 요인들이 미중 관계의 성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래서 그는 마지막에 책에서 미중 관계의 미래 시나리오를 예측했다고 말했다. 협력의 회복이나 전면적인 갈등보다는 제한된 공존이나 신냉전을 수반할 것입니다.
미·중 경쟁 상황에서 한국 외교가 어떤 길을 걸어야 하는지 김 교수는 이렇게 답했다. “미국과 중국의 경쟁이 가열되고 있지만 두 나라가 진영으로 나뉘어 화해할 수 없는 경쟁을 벌일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결정을 내리지 못한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미래를 평가해야 합니다.” 우리는 관계를 더욱 신중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그 대가로 우리는 미국과 중국 사이의 갈등을 완화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물론 쉽지는 않겠지만, 외교란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꾸는 기술이 아닐까요?
강성만 선임기자 (문의 [email protected])
번역 J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