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itrag]반복되는 한국의 정치적 위기에 대한 대안은 있는가? : 사설/칼럼 : 한겨레일본

신진욱 |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윤석열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청와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념 기자간담회 ​​’대통령에게 묻다’에서 그동안의 소감과 향후 정치 리더십에 대한 계획을 밝히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 단 // 한겨레신문

최근 윤석열 정부가 집권 초기 직면했던 각종 정치적 위기와 국난에 대해 다양한 진단과 개선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새 정부에서는 이러한 의견을 경청하고 역대 정부의 성과를 수용하며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주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현 정부가 성공해야 경쟁 정당들의 수준도 높아질 것이다.

이러한 단기적인 문제에 더해, 우리는 2000년대 이후 정부가 바뀔 때마다 한국에 발생한 장기적인 정치적 불안과 격변도 고려하고 싶습니다. 진보적이든 보수적이든, 민주적이든 보수적이든 어느 편에 있든 모든 정당은 정치 대중의 조울증 단계를 경험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기쁨과 희망의 시기, 절망과 분노의 순간이 몇 년마다 극적으로 변합니다. 나는 그것을 경험했습니다.

2002년에는 월드컵 붉은악마와 노사모(노무현이 사랑하는 단체)의 집단적 열광 속에서 노무현 대선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됐다. 그의 지지는 늘 불안정했고 임기 후반기에 정점에 달했다. 이런 상황에서 보수세력이 중앙과 지방의원, 입법부를 모두 장악했지만 이명박 대통령은 임기 초반부터 국민의 거센 반발에 부딪혀 지지율이 10%대 초반을 기록했다. 정치적 위기가 있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민주화 이후 가장 높은 득표율로 당선돼 경제민주화와 복지라는 큰 비전을 내세웠지만 임기 중 국정원과 군경을 정치적 도구로 만들었다. ‘비밀세력’이라는 의혹이 제기됐고, 결국 기소됐다. 스스로를 ‘촛불 정부’라고 표현한 문재인 정부는 높은 지지율과 높은 기대를 누렸으나 임기 말에 지지를 잃고 5년 만에 굴복했다. 그리고 이제 새 정부는 임기가 시작되면서 난관에 봉착했습니다.

민주사회에서 정권교체는 당연한 일이지만, 지난 20년간 한국이 겪었던 아찔한 롤러코스터는 분명 이례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윤석영 정부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만의 문제는 아니다. 누가 대통령이 되거나, 어느 당이 집권하든, 국가를 ‘통치 불가능’하게 만드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본질적 과제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대응이 있습니다.

첫째는 세대교체론이다. 미지의 것에 희망을 걸고, 기성 정치계 내에서의 정권교체는 정답이 아님을 인식하는 정치 로맨스다. 정치적 현실에 대한 불만과 다른 정치에 대한 열망이 세대교체라는 측면에서 개념화된 것은 이해할 만하다. 그러나 세대교체론은 이전 세대의 권력을 대체할 대중이 기대할 수 있는 차세대 집단과 지도자가 있어야만 실체를 가질 수 있다.

둘째, 다당제 이론이 있다. 물론 한국의 정치체제는 이미 다당제이지만 양대 정당이 집권하고 있기 때문에 다당제 경쟁을 장려하기 위해 체제를 개편하자는 얘기도 나온다. 양대 정당이 정권을 주고받는 ‘반복적 상징의 정치’에 문제가 많고 건설적인 경쟁이 필요한 것은 이해할 만하다. 그러나 현재 소규모 정당의 열세는 시스템적인 것인지 불분명하고, 어떤 조건에서 제3당이 양대 정당보다 더 잘 성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즉각적인 답이 없다.

셋째, 내각제를 통한 개헌론이 있다. 대통령제가 정책을 대통령 단독으로 좌우하는 등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정치엘리트와 정치문화의 기반이 확립되지 않으면 내각 내각제를 도입할 때 대통령제의 단점이 대통령제에서 나타난 것처럼 내각제의 단점이 나타날 수도 있다. 많은 정치 선진국들이 내각 내각제를 채택하고 있지만, 내각 내각 제도가 있다고 해서 정치 선진국이 되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인 곳이 동유럽이다.

위의 활동에 대한 문제의식은 이해하지만, 여전히 ‘해야 할 일’, ‘이렇게 했으면 좋겠다’로 귀결되는 측면이 있습니다. 대안이 현실화되려면 현재 한국정치의 주요 현안으로 논의되고 있는 부분에 대해 설득력 있는 개선안을 제시해야 한다.

즉, 판단의 시험은 대안안이 한국정치의 현 문제를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실용적인 질문이다. 예를 들어 유권자의 정치적 양극화, 성격정치와 포퓰리즘 정치, 정치인과 정치팬층의 수직적 동맹, 전문적이고 훈련된 직업 정치인의 부족, 인터넷상의 혐오정치와 가짜뉴스 등이 논의되고 있다. 한국 정치의 우려스러운 현실 또는 그러한 현실의 원인.

반복되는 정치적 위기에서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습니까? 문제의 핵심은 대안의 핵심을 포괄할 수도 있습니다.

//한겨레신문

신진욱 |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문의 [email protected])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1055893.html 한국어 기사 입력 : :2022-08-24 02:39
옮긴이: HJ

Elite Bos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