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총장이 14일 서울 용산 청와대에서 국정회의를 하고 있다/연합뉴스
9·19 남북 군사합의서 파기를 공개적으로 천명한 우리 정부가 이를 향한 본격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정부는 북한이 3차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할 경우 협정을 유예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석열 총장은 14일 공개된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성공한다면 이는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능력을 더욱 발전시키겠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에게 “남북 군사합의와 관련해 “중대하게 이뤄지는 것” 등 많은 쟁점들이 제기됐다고 말했다. 정찰능력과 군사훈련 등 우리군의 대북 방어태세를 제한하는 것”이라며 “충분히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 고위 관계자들은 “북한의 감시정보 능력을 제한한다”는 이유로 남북군사합의를 파기하거나 중단하겠다고 공개적으로 다짐했지만, 이제 그 말을 실천에 옮기고 있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이 13일 한미 안보협의회의(SCM)에서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에게 남북 군사합의의 실효성을 정지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신 장관은 남북군정합의에 따른 비행금지구역은 북한보다 우위에 있는 한미 항공정찰자산의 감시·정찰 활동을 심각하게 제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에 비해 상당히 불리하다. “그것이 나의 믿음이다”라고 그는 말했다. 특히 지난달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 이후 정부·여당은 이번 합의로 북한의 최전선 도발 징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능력이 크게 제한됐다며 그 효력을 최대한 빨리 중단시키려 했다고 주장했다. 움직이기 시작했어요.
2018년 9월 남북정상회담에서 합의된 남북군사합의는 군사분계선(MDL)을 기준으로 육·해·공에 완충지대를 설정해 우발적 군사충돌을 예방하는 것을 골자로 했다. 내용물. 합의 이후 위반사항이 발생하고, 남북관계가 악화되고, 긴장이 고조되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무력충돌이나 사망자는 발생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군비 통제의 목적은 특정 군사 활동을 제한함으로써 분쟁과 전쟁을 방지하는 것임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번 합의를 중단하고 한반도에서 무력충돌과 전쟁 위험을 높이는 것이 한국의 실질적인 안보이익에 부합하는가? 전 정부의 성과를 물거품으로 지지층을 확보하려는 여당의 정치적 계산은 긴장과 위험만 증폭시킬 위험이 크다. 정부는 세계정세가 더욱 위태로워지고, 남북관계가 악화되고, 우크라이나와 팔레스타인에서 전쟁이 터지면서, 우발적인 충돌을 막기 위한 안전밸브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문의는 [email protected])
옮긴이: H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