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 북한 주민 4명이 작은 나무배를 타고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속초 앞바다에서 우리 어선에 포착됐다. )호가 양양군 기지문항으로 예인되고 있다./연합뉴스
지난 24일 북한 주민 4명이 소형 목선을 타고 강원도 속초항으로 가던 중, 우리 군은 어선의 신고를 받고서야 이 사실을 알게 됐다. ‘실패한 전략’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북한 목선이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언제, 어디서 침범했는지 군 당국은 정확히 알 수 없었다. 너무 늦게 알아차렸기 때문에 그런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점이 잘못된 것입니다.
그러나 군 당국은 동해안 작전환경과 육·해군의 해상·해안경보시스템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철갑형 무수경계’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서해(서해)는 섬이 많아 군대와 장비로 세심하게 감시·감시할 수 있지만, 동해는 섬이 거의 없는 거대한 바다이고 NLL 길이가 404㎞에 달한다. 이 때문에 도카이 지방 앞바다로 나갔다가 돌아와서 NLL을 넘는 길이 7.5m의 작은 목선을 찾는 것은 쉽지 않다. 군 관계자들은 또한 감시 옵션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해안 침입에 실질적인 위협이 되는 표적을 선택하고 집중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에 대해 육군 장성 출신인 김병주 의원(민주당)은 25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집중’에 출연해 “지극히 충격적인 이야기”라고 말했다. , “경고 캠페인의 실패이자 공동 행동의 실패”라고 비판했습니다.
이번 경고 실패를 둘러싼 논란은 윤석열 정부로서는 ‘자제’ 측면이 강하다. 윤석영 정부는 지난해 5월 취임 이후 문재인 전 정부가 대북 경계경계를 해제한 데 대해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확고하고 단호한 전투태세를 취했다”고 비판해 왔다. 북한의 모든 위협에 대해 100% 대응하는 것이 목표인 ‘절대안보’는 압도적인 군사력 우위를 바탕으로 안보를 추구하는 개념이다.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윤석영 정부는 이번 ‘선전’을 통해 국민의 기대를 크게 높이고 예방조치 실패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언론이 북한 목선의 유출을 보도한 과정도 주목할 만하다. 첫 보도는 24일 오전 8시 30분 조선일보에 게재됐다. 이날 우리 어선은 오전 7시 10분쯤 북한 목선을 발견해 오전 7시 10분쯤 해경에 신고했다. 오전 8시쯤 군경과 해경이 출동해 북한 주민 4명을 연행했다. 이 정보는 거의 실시간으로 조선일보에 전달됐다. 이 문제를 취재한 기자들은 “윤석열 정부는 북한 가족의 해상 송환을 북한 정권이 흔들리고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이고 이를 조선일보에 즉각 보도했다”고 말했다. 그런 추측이 나왔다”며 “북한 체제의 존속성에 문제가 있다는 틀을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대중의 관심과 언론 보도는 ‘예방 조치 실패’ 쪽으로 옮겨갔다. 북한 정권의 취약한 내구성을 폭로하기는커녕 윤석영 정부의 방역 실패에 대한 부메랑으로 비쳐졌다. 윤석영 정부의 ‘안보 정치화’에 대한 우려는 국방부 기자들이 “군 당국의 경고 작전 실패가 아니라 청와대 홍보 실패”라고 농담할 정도로 커지고 있다.
권혁철 기자 ([email protected])
옮긴이: H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