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kyoreh S]홍명교의 다른 침대에 대한 꿈
팔레스타인과 우리
2000년 10월 가자지구 카르니 국경에서 13세 팔레스타인 소년이 이스라엘 탱크에 돌을 던지고 있다. 한 달 뒤 이스라엘 군 총에 맞아 숨진 소년의 아버지는 “내 아들들이 죽도록 놔둘 수는 없지만 알라의 뜻이라면 바꿀 수 없다”고 말했다./AP/연합뉴스
올해 10월 7일부터 세계의 이목이 팔레스타인에 쏠렸습니다. 현재 상황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요? 역사에는 “만약”이라는 것이 없습니다. 하지만 가상의 이야기를 생각해 봅시다.
‘모시모족’과 한국민족
1888년 전인 서기 135년, 한반도의 모시모 왕국은 외세의 침략으로 멸망했습니다. 그곳에 살고 있던 사람들은 새로운 통치자들의 박해를 피해 전 세계로 흩어졌습니다. 그들을 ‘모시모 사람들’이라고 부르자. 모시모스 사람들은 자신만의 경전과 유일신교에 대한 독특한 개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스스로를 다른 민족 공동체와 크게 분리된 “선택된 민족”으로 여겼습니다. 문화적, 종교적 차이, 뛰어난 돈벌이 능력은 때때로 성공과 도전을 가져왔으며, 이 때문에 자본주의는 초기 단계였던 19세기 서유럽 다수 질서에 의해 때로는 미움을 받기도 했습니다. 19세기 후반에는 새롭게 등장한 배타적인 부족주의와 더불어 ‘모시모’ 공동체에 대한 반감이 동아시아에도 확산되었고, 이는 불행하게도 20세기 최악의 인종청소로 이어졌습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점령지의 변화 //한겨레신문
모시모족은 ‘국가를 만들자’라는 운동을 벌였다. 무인도인 우간다, 중국과 러시아의 국경 지역 등 다양한 지역이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졌으나, 한반도만큼 매력적인 곳은 없었다. 1970년대 모시모(Mossimo)의 글은 “약속의 땅”으로 묘사되기도 합니다. T. 국제정세를 누구보다 잘 알고, 강대국의 엘리트들과 협상할 줄도 알았던 모시모족은 한반도를 식민지로 삼았던 일본으로부터 건국허가를 받아 이주하게 되었다. 반도로. 그들은 조상들이 이 땅을 떠난 이후 약 1,800년 만에 처음으로 “약속의 땅”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런데 한반도에 오랫동안 살아온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수천 년에 걸쳐 중국 본토와 인근 섬에서 이주한 사람들의 후손인 그들은 스스로를 ‘한족’이라고 부르며 동질성을 유지했습니다. 1948년 당시 인구의 94%가 한국인이었던 이곳에서 6%도 안 되는 모시모족이 갑자기 자신들의 나라를 세웠다는 것은 누구에게도 말이 되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어려웠다. 하지만 그들은 해냈습니다. 글로벌한 ‘모시모 네트워크’와 자본이 있었고, 일본과 미국의 지원도 도움이 됐다. 유엔은 한반도 국토의 56%를 국토의 6%에 불과한 모시모족에게 주기로 결정했습니다. 식민지 지배가 끝나면 해방될 것이라고 믿었던 한국인들은 갑작스러운 보도에 분노했다. Mossimos는 총검으로 철수하겠다고 위협하고 혼란을 겪었습니다. 한반도 원주민에 대한 인종청소로 수천 명이 학살당하고 마을 530개가 파괴됐다. 당시 인구의 절반 이상이 자신이 살던 나라에서 강제로 추방되었습니다. 이는 한민족의 뼈에 깊은 상처를 남겼습니다. 오늘날에도 한국 난민들은 ‘고향으로 돌아간다’는 마음을 품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반면, 오늘날을 살아가는 젊은 모시모들은 1948년 참사를 알지 못한다. 교과서에서는 이런 역사를 가르치지 않고, 관련 자료도 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모시모족은 유엔이 정한 국경을 무시하고 한국 땅을 점거했다. 1968년 전쟁 이후에는 정착민들의 이주를 허용하고 장려했습니다. 이들 식민지 주민들은 매우 공격적이고 독단적인 선거 이념을 가지고 있었고, 그들 중 일부는 준군사조직 수준의 군대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갑자기 조선인들이 살고 있는 경상도와 전라도에 크고 작은 정착지를 세우고, 군대를 동원하여 그들이 점령한 지역을 확장하였다. 이는 점령국의 민간인이 무력으로 정복한 땅에 정착할 수 없다는 국제법을 위반한 것인데, 모시모 국수주의자들은 아무런 고려 없이 이를 수행했습니다. 그들은 서울의 절반을 점령하고 모시모 정착촌을 보호하기 위해 거대한 성벽을 쌓았습니다. 한국 어린이들은 빼앗긴 땅에서 파티를 벌이는 정착민들을 싫어했고 돌을 던지며 모시모 군대에 저항했습니다. 수천명의 한국인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먼저 무엇을 그만둬야 할까요?
평화적인 탈식민지화 운동에 참여했던 한국인들 사이에서는 분노가 커졌다. 이 때문에 ‘무장저항’론은 한국인들의 다양한 정치적 견해에서 두각을 나타내게 되었다. 오랫동안 조선민족을 대표해 온 정당들은 식민지 주인들에게 무능하고 협조적이었습니다. 한국인들은 더 이상 속을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2006년 총선에서 강경파가 압도적으로 승리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선거 결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모시모 국민과 미국, 일본 등 강대국은 한국 봉쇄를 합리화하기 시작했다. 모시모족은 한인들이 밀집해 있던 ○○지역 경계에 8m 높이의 성벽을 쌓았다. 거기에는 수백만 명의 한국인들이 갇혀서 밖으로 나갈 수 없었고, 바다마저도 봉쇄되었습니다. 점령 당국은 모시모 사람들에게 식수, 전기, 식량 등 생필품을 할당했고, 해외로 나가고 싶어도 서울을 거쳐야 했다. 한민족은 잔혹한 차별과 멸시, 차별에 시달려 일상생활 그 자체가 재앙이었다. 이러한 유형의 인종 청소가 비판을 받자 모시모 사람들은 이를 “반모시모”라고 비난했습니다. 약속의 땅인 한반도에 모시모민족의 국가를 창건하겠다는 일념에 몰린 한국인들은 그들에게 바퀴벌레처럼 보였다.
어느 날 한국독립운동 무장세력이 성벽을 무너뜨리고 모시모족을 공격했다. 모시모스와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린 전례 없는 반격이었다. 한국인들은 모시모 정착촌에 거주하는 민간인 약 200명을 납치해 감옥에 갇힌 한국 정치범 6000명과 교환할 목적으로 인질로 잡았다. 타. 이번 반격은 인종 청소와 점령이 계속될 수 있다고 믿었던 극우 모시모스에게 타격을 입혔다. 분노한 모시모 사람들은 ○○ 지역에 폭격을 가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지역 인구의 40%가 어린이였고, 그만큼 많은 어린이가 목숨을 잃었습니다. 폭격이 시작된 지 일주일 만에 수천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만약’으로 시작하는 이 가정은 오늘날 팔레스타인에서 벌어지고 있는 비극을 비유한 것이다. 우리는 서구 언론의 보도를 일방적으로 받아들이고 이번 사건을 ‘종교 갈등’으로 잘못 해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대다수는 세속적이며 다른 종교를 존중합니다. 이 비극은 10월 7일에 시작된 것이 아닙니다. 1948년 시온주의자들이 일방적으로 건국을 선언하고 원주민을 추방하고 1968년 노골적인 인종분리를 시작하면서 대량학살은 이미 시작됐다.
이전 세대가 경험한 식민주의의 역사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관점에서 사물을 바라보게 한다. 그런데 왜 우리는 팔레스타인 문제를 제국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걸까요? 동아시아의 일반 사람들은 어떤 관점을 가져야 할까요? 담벼락 뒤에 갇힌 평범한 사람들의 학살을 멈추는 것을 먼저 요구해야 하지 않을까?
홍명교 | 동아시아 연구 활동가
‘플랫폼 C’ 활동가. 동아시아에 관한 이야기를 써 보세요. 서로 다른 사회의 차이를 이해하고, 같은 꿈을 추구하겠다는 뜻을 담고자 이름을 선택했다. 이상을 품은 동아시아의 꿈(Ideal East Dream)이라는 의미도 있다. (문의는 [email protected])
DK가 번역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