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종말…기술혁신 없으면 2040년대 마이너스 성장…경제:한겨레일본

한국은행 전경 = 한국은행 제공 //한겨레신문

한국이 생산성을 빨리 높이지 못하면 2040년대 ‘역성장’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극도의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감소와 자본투자 정체로 기술혁신 외에는 의지할 곳이 없다. 한국은행은 조속히 신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고 권고했다.

한국은행은 17일 조태현 경제연구원 부행장이 작성한 ‘한국경제 80년과 미래성장전략’ 보고서를 내놨다. 한 국가의 경제성장은 일반적으로 노동 투입, 자본 투입, 총요소생산성(TFP)의 세 가지 요소로 분류됩니다. 총요소생산성은 말 그대로 노동, 자본 등 모든 생산요소의 생산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술진보와 경영혁신의 실현을 통해 향상된다.

연구진은 과거 한국의 성장을 이끈 요인들이 모두 쇠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분석 결과, 1970년대 성장률을 5.9%포인트 끌어올린 자본투입이 2010년대에는 1.7%포인트 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노동투입 기여도도 2.3포인트에서 0.6포인트로 떨어졌다.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2포인트 안팎이었던 총요소생산성의 기여도는 2010년대 이후 0.6포인트로 급격하게 감소했다. 연구진은 출산율 감소가 지속되고 일반적으로 자본투자가 경제성장률을 뛰어넘기 어려운 상황에서 앞으로도 노동력과 자본 수준을 충분히 높이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앞으로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총요소생산성에 의해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총요소생산성이 개선되지 않으면 한국 경제는 2040년대부터 마이너스 성장을 겪을 것으로 예상됐다. 2030년대에는 성장률이 0.6%, 2040년대에는 -0.1%로 추산된다. 이는 총요소생산성의 기여도가 자본투입의 기여도를 30%로 가정하여 추정한 것으로, 2011년부터 2022년까지 이 수치가 실제로 27%라는 점을 반영한다. 한국경제는 2030년대에는 0.9%, 2040년대에는 0.2%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경우 2000년대에는 총요소생산성의 비중이 80% 안팎이었으나 2010년 이후 60% 수준으로 떨어졌다.

연구팀은 일본이 총요소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속히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그는 신흥 성장동력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문화산업, 군사산업 등을 꼽았다. 아울러 기업이 창업과 퇴출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며, 기후변화, 에너지 문제, 공급망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또한 노동력과 자본 투입의 둔화와 감소를 늦추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재영 기자 ([email protected])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120729.html한국어 원문 입력 : 2023-12-18 02:31
옮긴이: HJ

lyon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