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지구 참사가 퍼진 진짜 이유: 일본/국제 : 한겨레일본

[Die 5]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한 달, 그 비극적 전환

지난달 31일(현지시각) 가자지구 북부 자발리야 난민캠프에서 이스라엘군의 공격으로 진압이 발생해 이날 난민캠프 주민 50명이 숨졌다/로이터/연합뉴스

 뉴스가 알려주지 않는 뉴스, 볼수록 흥미로워지는 뉴스를 5가지 질문으로 정리했습니다. 5명이 질문하고 기자들이 답한다.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잔혹한 전쟁이 벌어진 지 한 달이 넘었습니다. 모든 것은 지난달 7일 하마스 무장세력의 기습공격으로 시작됐다. 하마스는 이스라엘이 건설한 가자 지구의 장벽을 넘어 1,400명 이상의 이스라엘 민간인을 살해한 뒤 240명의 인질을 데리고 돌아왔습니다. 이후 이스라엘은 도시를 얇게 조각조각 파괴하는 ‘슬라이스 작전(Operation Slice)’을 실시해 왔다. 그 결과 이미 10,000명 이상의 가자 주민들이 사망했습니다. 그 중 거의 70%가 어린이와 여성이다. 이 비극의 진짜 원인은 무엇인가? 민간인 피해가 왜 그렇게 큰가요? 정의길 국제부 선임기자에게 물었다.

12일(현지시각) 가자지구 남부 라파 주민들이 공습으로 파괴된 건물들을 점검하고 있다. 하마스가 통치하는 가자지구 보건부에 따르면 가자지구의 사망자 수는 남북전쟁 이후 증가했다. 하마스와 이스라엘은 지난 7일부터 시작해 지난달 1만명을 돌파했다. (라파/AFP/연합뉴스)

[Die 1]비극의 진짜 원인은 무엇이었는가?

정의길 기자: 지난달 7일 하마스 공격과 이에 대한 보복이 아닐까 싶습니다. 첫째, 하마스의 기습공격은 명백히 테러행위이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2005년부터 가자지구를 봉쇄해 왔으며 ‘잔디깎기’ 전략으로 가자지구를 관리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우리는 마치 길고 얇은 잔디를 깎듯이 정기적으로 하마스 군대를 공격했습니다. 지금까지 가자지구였습니다.물부터 전기, 기본 생필품까지 모든 것이 이스라엘에 의해 통제되는 사실상의 감옥이었습니다.

이 밖에도 최근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 등 국가들이 이스라엘과 수교를 시작했다. 결정적으로 이슬람의 대군주 사우디아라비아는 8월 초 이스라엘과 수교를 시도했다.미국, 사우디아라비아, 이스라엘이 손을 잡게 된다면, 하마스는 고립이 불가피하다고 믿습니다.그는 그렇게 결정한 것 같습니다. 지난 8월 말,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이슬람 성지인 알아크사 모스크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고, 하마스의 분노는 한계점에 이르렀습니다. 따라서 이번 하마스 작전의 명칭은 ‘알악사 홍수 작전’이었다.

[Die 2]한 달 넘게 전쟁이 계속되고 있는데, 민간인 피해가 왜 이렇게 큰 걸까요?

정 기자: 가자지구를 잠시 상상해 보세요. 폭 10㎞, 길이 40㎞로 서울 크기의 3분의 1 정도다. 가자지구 전체 면적의 3분의 1도 안 되는 면적을 차지하는 가자시티에는 많은 사람이 살고 있다. 세계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곳입니다. 이스라엘이 그들을 20피트짜리 담으로 가두었기 때문에 그들은 갈 곳이 없습니다. 거기에 폭탄이 집중적으로 투하됩니다.

가자지구의 희생자 10,000명 중 4,237명이 어린이였습니다. 여성도 2,500명 이상 사망했다. 이스라엘이 얼마나 많은 합법성을 부여하는지에 관계없이 전쟁에는 비례의 원칙이 적용됩니다(민간인 사상자가 예상되는 군사적 이득을 초과하는 공격은 금지됩니다). 이제 누가 시작했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건물이나 집에 테러리스트가 있다고 해서 아이들이 있어도 폭탄을 터뜨린다고 합니다. 이것은 전쟁이 아니라 대량 학살과 사냥입니다.민간인 피해는 ‘부수적 피해’로 간주불리는 상황입니다.

6일(현지시각)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남부 라파에서 이스라엘의 폭격을 피해 어린이들이 달려가고 있다/AFP/연합뉴스

[Die 3]이스라엘은 왜 지금까지 가는가?

정 기자: 첫째, 하마스 공격에 대한 보복입니다. 네타냐후 정부가 우익 극단주의자라는 점도 한몫했다.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이번 사건 이전부터 이미 정치적 위기에 처해 있었고, 국내 정치 분위기 때문에 과도한 보복에 나설 수밖에 없었다는 측면도 있다.

지상전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이스라엘은 2005년부터 가자지구에 지상군을 네 차례 파견했다. 그 이후에는 한 달에 한 번씩 공습이 있었습니다. 가자지구에서는 18년 동안 3,550명이 사망했습니다. 그래도 그때는 경영이 문제였어요. 표적으로 삼아 공격한 뒤 후퇴하는 방식이었다. 이번에는 군사작전의 성격이 처음부터 달랐다.파괴가 목표입니다.

[Die 4]국제사회는 왜 이스라엘을 막을 수 없는가?

정 기자: 국제사회의 집단지성이 한계에 이르렀다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 같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과 비교해도 민간인 학살에 대한 태도는 크게 다릅니다. 첫째, 미국이 막혔다. 유대인들이 미국의 정치와 경제를 통제하고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실제로 대선에서 유대인 유권자를 지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지난달 29일 한국은 유엔 총회 휴전 결의안에 기권했다. 한국 정부는 휴전을 지지하는 게 아니라 미국이 주장하는 ‘인도적 적대행위 중단’을 지지한다.

[Die 5]그냥 무기력하게 지켜봐야 할까요?

정 기자: 그래서 비극인 거죠. 우리도 우리의 몫을 다해야 합니다. 고 김대중 대통령도 같은 말을 했다. “아무 것도 못 하면 그냥 벽에 대고 소리지르겠다.” 서구 주요 언론의 정보나 한국 교과서에 나오는 정보 외에 다른 이야기와 관점이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국제사회에서 침묵을 지켜온 우리 정부의 명확한 입장도 요구해야 한다.

하오영 기자 ([email protected]로 문의)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115889.html한국어 원문 입력: 2023년 11월 13일 01:23
번역 석사

Elite Bos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