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수상자 서울에 모였다: “한국의 R&D 예산 삭감은 과학계에 큰 타격이 될 것’ : 정치/사회 : 한겨레

‘2023년 서울 노벨상 대화’ 행사에서

(왼쪽부터)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맨체스터대학교)와 조지 스무트 교수(홍콩과기대)가 24일 2023년 노벨상 대화 서울에 앞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한림과학기술원 제공 //한겨레신문

노벨상 수상자들이 한국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 삭감 계획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2010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콘스탄틴 노보셀로프(영국 맨체스터 대학교) 교수가 2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3년 노벨상 대화 서울에 앞서 기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그는 회의에서 “우리 한국 연구자들이 최근 (정부 예산 삭감 발표 등) 어려운 상황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며 “예산 삭감은 한국 과학계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라고 말했다.

이번 행사에는 노보셀로프 교수를 비롯한 노벨상 수상자 5명이 참여해 노벨상의 지식과 가치를 전 세계에 알리고자 마련됐다. 여기에 모인 수상자들은 우리 정부가 내년도 연구개발예산을 올해보다 16.6%(5조2000억원) 삭감하기로 한 결정에 대해 모두 우려를 표시했다. 우리는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합니다.”

2006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조지 스무트(홍콩과기대) 교수는 기초과학에 투자하면 100배 이상의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문제는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시간.” 타. 그는 이어 “한국은 천연자원이 없는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기술에 투자해 세계 10대 경제대국이 됐다”며 “한국 정부는 경제발전을 위해 기초과학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 .

2013년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마이클 레빗(미국 스탠퍼드대) 교수도 “이번에 한국 정부가 연구개발 예산을 삭감한 이유에 타당성이 있는지 모르겠다. ‘라고 말하면서도 예산을 절대 삭감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좋은 결과가 나오지는 않을 것입니다. 미래를 위해 중요한 것은 교육, 과학, 기술에 대한 투자입니다.”

2017년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요아킴 프랭크(미국 컬럼비아대) 교수는 “과학기술에 대한 정부의 투자와 지원이 과학자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해서는 안 된다”며 “연구가 진행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특정 방향으로요.” 아니다”라고 말했다.

비달 헬게센 노벨재단 회장도 한국의 정치적 상황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하면서도 “과학, 교육, 연구 분야에 대한 장기 투자와 각국의 성공적인 사례 생산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다”고 말했다. ‘노벨상 수상자’는 인원수만 봐도 이해하기 쉽다.”

한편, 일본 민주당 정필모 의원은 이날 내년도 R&D 예산이 16.6% 삭감되기로 확정되면 정부 지원 연구기관 25곳에서 연수직 연구원 1200여 명이 삭감된다고 밝혔다. 잘려라. 고마워. 이번 인력 감축은 훈련인력 1인당 인건비를 올해 수준으로 유지하고 지원 연도별로 내년도 예산 감축 비율을 적용한 결과다.

연구소의 교육인력은 박사후연구원, 학생연구원, 인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현재 25개 연구기관에서 박사후연구원 1,087명, 학생연구원 3,089명, 인턴 715명 등 총 4,891명이 근무하고 있다.

기민도 기자 (문의 [email protected])

https://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1109859.html한국어 원문 입력 : 2023-09-25 02:30
번역된 광고

lyon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