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자살률 30% 감소…무료 정신건강검진 2년으로 단축” | 중앙일보 | 중앙일보


ⓒ 중앙일보/중앙일보 일본어판2023.02.14 13:23

현재 국민건강검진의 일환으로 10년마다 받을 수 있는 무료 정신건강검진 기간이 2년으로 단축된다. 대상 질병도 우울증은 물론 정신분열증, 조울증 등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향후 5년간 자살률을 30%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보건복지부는 13일 서울역 인근 공간모어에서 공청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5차 자살예방 기본계획(2023~27)안’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기본계획은 의견수렴 등을 거쳐 보완해 국무총리실 자살예방정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복지부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 사회적 자살위험요인 감소 ▼ 자살고위험군 집중관리 ▼ 사후관리 강화 ▼ 개인별 자살예방 ▼ 효율적인 자살예방 추진 기반 강화.

정신건강 문제는 조기 개입이 중요하기 때문에 2년 정신과 진단제도를 도입한다. 현재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누구나 무료로 우울증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앞으로는 이 주기를 일반 건강검진과 마찬가지로 2년으로 단축해 우울증은 물론 조현병, 조울증 등 정신질환에 대한 검사도 가능하게 된다. 우선 젊은층(20~34세)을 타깃으로 한 뒤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정부는 자살사고가 다발하는 지역에 대해서도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자살사고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없애겠다는 취지다. 정부는 새로 건설되는 교량에 난간과 보행자 보호 울타리를 설치하도록 관련 규정을 개정할 계획이다. 정부는 자살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교량 안전시설에 대한 종합점검도 추진한다.

2027년까지 17개 시·도에 ‘생명존중안보마을’을 구축하고, 각 지자체 특성에 맞는 자살예방 모델을 마련한다. 현재 서울시 강서구에서는 ‘생활애불안아파트’ 사업이 2021년부터 진행 중이다. 고위험군에 대한 일대일 돌봄과 정신건강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정부는 주변의 자살 위험 신호를 인지하고 전문가와 연결해 줄 수 있는 ‘생명의 수호자’를 양성하기 위해 매년 100만 명을 양성하기로 결정했다.

자살 고위험군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난 발생 후 2년간 고위험군을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자살위험이 높은 비정신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환자를 파악해 정신건강의학과, 자살예방센터 등 전문기관과 연계하는 시스템도 구축한다.

야간이나 주말에 ‘심리적 응급상황’ 발생 시 경찰, 소방서와 합동 대응이 가능하도록 위기대응팀 관리체계도 구축한다. 복지부, 경찰청, 소방청, 지자체, 관계 전문가 등 15명 내외로 중앙정신건강 비상대응협의회를 구성해 비상 관련 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상황.

정부는 응급실에 정신건강 전문의를 배치하고 환자에게 조기 개입을 제공하는 시범사업 추진도 검토할 예정이다. 자살환자가 다른 의료기관을 방문할 경우 해당 기관에서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현재 시험 중인 ‘자살유족 원스톱 지원’ 사업을 전국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러한 대책을 추진해 2027년까지 자살률을 30% 이상 줄여 18.2명으로 낮추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자살 고려율을 2021년 12%에서 2026년 4.6%로 낮추기로 결정했다.

2021년 우리나라 자살률(인구 10만명당 자살자 수)은 23.6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11.1명)의 두 배 이상이다. 20명 이상을 보유한 국가는 한국과 리투아니아(20.3명)뿐이다. 자살률은 2017년 24.3명에서 2018년 26.7명, 2019년 26.9명으로 증가했다가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에는 2020년 25.7명으로 감소했다가 2021년 26명으로 감소했다. .0명으로 소폭 증가했다.

roy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