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년 전 일본 간사이지방은 한반도의 조상들이 살았던 곳이다 : 문화 : 한겨레일본

『이민자의 고고학과 역사』 출간
고대 한일교류사를 미국 학자가 편찬한 책.

1990년대 조사 당시 전라남도 함평시 여덕리 신덕고분의 모습. 앞면이 사각형, 뒷면이 둥근 고대 일본 특유의 전방후원분입니다. 고분 곳곳에 돌을 쌓아 놓은 흔적(후키이시)이 남아 있어 전형적인 일본식 열쇠구멍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도랑으로 둘러싸인 형태의 고분. = 한겨레자료사진 //한겨레신문

최근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는 해외 관광지 중 하나가 오사카가 위치한 일본 간사이 지역이다. 이 지역은 일본에서 가장 큰 한인 마을이 있는 것으로 유명하며, 많은 한인들은 20세기 초 식민지 고국을 떠난 많은 한인들이 이곳에 정착하여 생계를 유지했다고 믿고 있습니다. 인식되었습니다.

그러나 역사적 진실은 간사이에 새겨진 우리 고대 조상들의 놀라운 발자국을 전하고 있습니다. 8세기 초 『속일본기』의 인구 조사 기록에 따르면, 1,300년 전 간사이 지방의 중심지였던 남쪽 나라 분지에 거주하는 인구의 80~90%가 백제 이주민이었다. 이를 증명하는 것은 5세기 후반부터 간사이 지방에 출현하여 6세기까지 폭발적으로 증가한 백제 고유의 고분양식인 수평동굴식 석실묘이다. 고야스 등 지역에 1000개의 무덤”이 있습니다. ‘센즈카 고분군’이라는 뜻의 센즈카 고분군은 비가 내린 뒤 죽순처럼 모습을 드러낸다. 엘리트의 무덤 중 일부는 왕릉 수준으로 규모가 매우 크며, 청동거울, 철단검, 검, 금귀고리, 옥 및 유리 제품 등이 출토되었으며, 백제와 마한의 주민과 통치자들이 있다. 계보. 이것은 보여준다. 발굴되지 않은 고분은 수백 개가 있으며, 간사이 지역에만 백제식 고분이 1,000개 이상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역사고고학자 이시와타 신이치로는 “센즈카라는 거대 고분의 주인이 한반도 남서부 이민자와 그 후손인 것으로 볼 때 서기 475년부터 600년까지 125년 간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적어도 100만 명이 한반도에서 일본 열도로 이주한 것으로 추산된다.”

“고고학과 이주민사” 표지//한겨레신문

이러한 사실은 미국에서 활동하는 세 명의 고고학인류학자가 한국과 일본에서 출판된 막대한 양의 고고학, 역사 서적의 서지정보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정리한 학술서적 ‘이민자(Migrants)’에 설명되어 있다. 『일본의 고고학과 역사』(슈루조 출판사)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이성래 오레곤대학교 고고학 명예교수, 멜빈 에이켄스(멜빈 에이켄스) 오레곤대학교 인류학(고고학) 명예교수, 지나 번스(Gina Burns) 영국 더럼대학교 일본학 명예교수가 공저했다. 한국전통대학교 고고학융합학과 김경택 교수 옮김. 이 책은 기원전 1000년 이전의 백자시대부터 서기 7세기 삼국시대까지 한반도에서 일본 열도로 이주해 온 경로와 이들이 일본 문화와 사회 발전에 기여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한반도 “이민자”의 활동을 통해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집중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이 책은 고대 한반도 이민자들의 이야기를 일곱 가지 질문을 통해 풀어낸다. 이 사람들은 어디서 왔는가? 그들의 역사적, 사회 문화적 배경은 무엇입니까? 그들은 왜 한반도를 떠났고, 일본 열도 어디에 정착했으며, 무엇을 하였는가? 최근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사람들이 일본 열도 사람들로부터 어떤 대우를 받았는지, 그리고 그들이 일본 사회에 어떤 공헌을 했는지 알기 쉽게 설명합니다. 고대 한반도의 선조들이 일본 열도로 이주한 문화의 역사는 벼농사 도입기, 청동기 문명 확산기, 철기류 확산기, 대규모 문명 확산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종교, 문화 유물의 대규모 확산은 끊임없이 흐르는 강과 같습니다. 이민자들의 이야기는 그것이 일본의 기원에 대한 미스터리를 푸는 중요한 열쇠라는 통찰로 요약된다. 저자는 “5, 6세기 고대국가 일본의 기반을 마련한 혁명적 변화는 기술과 문화혁명을 이룬 기술과 기능을 갖춘 사람들의 도래로 가능해졌다”고 지적한다. 이민자들은 고대 일본 국가의 기초를 만드는 데 필수적인 요소였습니다.

‘고대 한일교류사’ 표지//한겨레신문

올해 상반기에 출간된 중견고고학자 박충수 교수(경북대출판부)의 걸작 ‘고대 한일교류사'(경북대출판부)에도 가야 문화의 전파 과정이 담겨 있다. , 백제, 신라. 6세기 일본 건국의 중심이 일본이었다는 사실을 고고학 발굴 결과를 통해 보여주는 걸작이다. 3세기부터 5세기까지 일본열도에 인접한 한반도 남부 가야지역의 문화는 일본과의 교류의 주요 축이었으며, 그 순서대로 교섭의 주체가 금관가야에서 대가야로 옮겨갔다. , 그리고 나중에 가야가 신라에 흡수되면서 백제가 되었다. 박 교수가 수집한 일본 각지의 상세한 고고학적 발굴자료를 통해 교류의 중심이 일본으로 옮겨가는 과정을 실증하고 전개할 예정이다. 일반적으로 믿고 있는 것과는 달리, 일본과의 적대관계로 발전했다고 전해지는 신라와 일본과의 무역 및 문화교류는 5세기 이후에도 활발히 이어졌고, 백제 멸망 이후에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흥미롭다. 이는 일본 전역의 신라식 고분 유적 사례를 통해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는 양국의 외교적 필요성의 결과로 심화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노현석 기자 (문의 [email protected])

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1111401.html한국어 원문 입력 : 2023-10-09 21:18
번역 석사

lyon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