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itrag]한국의 정책과 운동은 전쟁시대의 현실을 인식하고 있는가?: 사설/칼럼 : 한겨레일본

신진욱 |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자발리야 난민캠프에서 한 주민이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폐허가 된 건물 잔해 위에 앉아 있다./AP/연합뉴스

그것은 잔인한 전쟁이다. 지난해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피해자는 50만명, 난민은 600만명에 이르렀고, 지난달 7일 팔레스타인 이슬람 무장단체 하마스와 이스라엘이 전쟁을 시작했다. 불과 한 달 만에 5000명 이상의 어린이를 포함해 1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사망한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Zygmunt Bauman)이 말했듯이, 자유주의의 꿈과는 달리 20세기는 전쟁과 대량 학살의 세기였습니다. 냉전이 끝난 뒤에도 걸프전쟁, 이라크전쟁, 아프가니스탄전쟁 등 주요 전쟁은 물론 보스니아, 시리아, 리비아 등 여러 나라에서 수많은 내전이 일어났다. 그러나 최근에는 중국, 러시아, 북한, 아랍권이 미국의 헤게모니에 점점 더 도전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전쟁의 위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전쟁의 시대를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

윤석열 정부는 줄곧 ‘군사현실’을 내세워왔지만 그런 접근 방식은 그 이면의 관점만큼이나 위험하다. 군사현실주의는 현대 국제정치사에서 오랜 이념적 전통을 갖고 있지만, 세계를 단순히 국가 간 적대관계로 보고 평화와 협력의 가능성을 가로막는 이념으로도 기능해 왔다. 군사현실주의는 실제로 현실을 군사적으로 재배치하는 군사주의이다.

또 다른 위험은 사람이 없는 지정학이다. 국제 관계를 지리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지정학에서 ‘사람’을 빼면 지정학은 지도 위의 조각을 움직이며 국가 간의 동맹과 전쟁을 상상하는 통치자의 과학이 됩니다. 북한과 중국, 러시아가 힘을 합쳐 한쪽에 영향력을 행사하면 한국과 미국, 일본이 힘을 합쳐 다른 쪽을 무너뜨리는 ‘힘의 논리’다. 이 과정에 빠진 많은 사람들이 이 서사에서 지워지지만, 이 관점이 실제 정부 결정을 대변하는 정치적 담론이 되면서 비극적인 오산이 일어난다.

이러한 군국주의는 우리 사회에 뿌리내린 극우 반공주의, 이념적 증오와 결합하면 극도로 위험해진다. 이전 군사정권 시절에도 북한의 위협은 허구가 아닌 현실이었다. 문제는 이러한 군사적 긴장을 정권의 이익과 이념적 통제를 위해 이용하는 지배구조였다. 안보 위협에 관한 최근 이론과 ‘반국가세력’에 대한 수사가 비밀리에 이 낡은 악순환을 다시 시작하고 있다.

한편, 지금까지 화해와 협력을 추구해 온 이들은 시대 변화의 환경을 파악하고 이에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국가 간 경제적 상호의존과 대화와 신뢰 구축을 강조하는 자유주의적 접근은 여전히 ​​중요하지만, 전쟁이 만연한 현실을 타파하기 위한 패러다임으로서 그 한계가 분명해졌다. 우리는 더 이상 프란시스 후쿠야마가 “역사의 종언과 ‘자유’의 최종 승리”를 선포했던 자유주의 시대에 살고 있지 않습니다.

정치와 운동의 틀이 사회에서 견인력을 얻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실제로 경험하는 현실을 설명하는 틀로서 신뢰를 얻어야 한다. 국제정치뿐 아니라 국내정치와 문화환경도 변화하는 오늘날, 우리는 많은 이들에게 공감할 수 있는 노선과 담론을 펼쳐 나가야 합니다.

진보적인 시민사회가 직면한 또 다른 과제는 저항적 민족주의에 대한 반성이다. 팔레스타인 지식인 에드워드 사이드는 “이스라엘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 사람들에게 그들이 겪었던 것과 똑같은 고통을 가하고 있다”는 역설을 지적하며, 저항적인 민족주의 역시 “그들의 반영”이라고 말한다. 그는 이것이 “팔레스타인 시온주의”가 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인종, 인종, 국가의 경계를 초월하는 해방에 대한 이야기”를 촉구했다(펜 앤 소드).

역사와 민족은 사람 위에 있지 않습니다. 우리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간의 폭력이 합법적인지에 대한 질문을 거부해야 합니다. 우리는 폭력에 항의하고 모든 사람의 존엄성과 자유, 평등을 지속적으로 옹호하는 평화의 비전을 요구해야 합니다. 한반도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폭력은 폭력을 낳고, 증오는 증오를 낳는 이 악업의 시대에, 우리는 어떻게 적대적인 현실을 직시하면서도 무기력한 이상주의로 민주주의, 인간성, 평등, 평화의 가치를 지킬 수 있겠습니까? 우리는 그것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을까요? 시간이 우리를 멈추게 하지 않으면서 시간의 폭력을 극복하는 힘이요? 저는 약하고 아직 답을 찾지 못해서, 함께 답을 찾고 싶은 강한 마음으로 질문을 드립니다.

“꿈 때문이었다.” 한강 작가는 꿈에서 군인들에게 쫓기다가 총검이 가슴에 닿는 순간 울면서 숨을 쉬지 못하고 몸을 떨었다고 썼다. “그는 꽉 쥔 주먹을 내밀며 어둠 속에서 중얼거렸다. 꿈이었어, 꿈이었어”(“The Boy Is Coming”).

독일 베를린에서는 국가폭력에 관한 박사학위 논문을 쓰기 위해 매일 전쟁과 대량 학살에 관한 자료를 읽었습니다. 어느 날 나는 이런 꿈을 꾸었는데, 두려움이 나를 감싸는 듯한 느낌에 몸을 떨며 새벽에 일어났습니다. 이 두려움은 현대사입니다!

//한겨레신문

신진욱 |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문의 [email protected])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1115996.html한국어 원문 입력: 2023년 11월 13일 07:00
DK가 번역함

Elite Bos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