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소련 모델’로 핵무기를 개발한 북한도 위성 기술을 확보하게 될까? : 사설/칼럼 : 한겨레일본

[email protected]//한겨레통신

영화 ‘오펜하이머’에도 등장하는 독일 태생의 영국 물리학자 클라우스 푹스는 1944년부터 미국의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해 확보한 핵무기 개발 정보를 소련에 넘겼다. 이에 소련은 자체 연구에 박차를 가해 1949년 첫 핵실험에 성공했다. 냉전 시대 미국과 소련은 치열한 핵 경쟁을 벌였고, 북한도 곧 소련의 길을 따르기 시작했다. .

‘사회주의 진영’ 과학기술 전문가인 이충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이 쓴 ‘북한의 핵 패권’에 따르면, 북한은 핵무기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정권 출범 이후 발전. “소비에트 모델”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북한 핵 과학자들은 1956년 모스크바에 설립된 두브나 핵연구소(JINR)에 합류해 핵 관련 기술을 조기부터 확보했다. 북한은 소련에서 들여온 원자로와 핵기술, 장비 등의 기초를 바탕으로 국산 원자재를 활용해 자력갱생의 노선으로 핵개발을 진행해 왔다. 북한은 2006년 10월 9일 1차 핵실험을 실시했으나 198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인 핵무기 개발에 착수했다. 미국의 대북정책 외에도 다양한 요인이 작용했다. 2017년 북한이 핵·미사일 실험을 거듭하고 한반도 전쟁설이 커지자 중국은 그 원인이 “미국의 적대 정책”이라고 공개적으로 주장했지만, 당시 중국 내부 보고서에는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 김정은(Kim Jong Un) 정권 수립 이후 정치적 불안정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

소련 붕괴 이후 30년 넘게 중단됐던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협력이 다시 한번 위험한 엔진에 시동을 걸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주 엿새 동안 러시아를 방문해 북한의 전략적 존재감을 강조했다. 북한과 러시아가 극초음속 미사일, 장거리 전략폭격기 등 첨단 무기를 김정은에게 보여주는 등 공개적으로 무기 거래에 나섰다.

이충근 연구위원은 “북·러가 단기적으로는 위성 협력, 장기적으로는 핵잠수함 협력 쪽으로 나아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북한은 그동안 정찰 확보를 추진해왔다. 위성은 한반도 주변 지역을 감시·정찰하고 정확한 공격 대상을 선정하기 위한 대망의 프로젝트다. 만약 북한이 최전선이 집중된 동북아 지역에 잠수함을 타고 핵무기를 수송한다면 한국과 일본에 큰 위협이 될 것이다. 그러나 러시아가 실제로 북한에 위성 기술을 제공하더라도 시나리오는 복잡할 것이다. 우선 가장 실용적인 방법은 러시아 위성이 북한 상공을 지나갈 때 촬영한 영상을 원격 측정을 통해 평양 기지로 보내고, 이를 분석할 장비와 인력을 러시아가 제공하는 것이다. 땅바닥에.” ‘그럴 가능성이 매우 높아요.’ 러시아가 정찰위성을 자체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지만, 상당히 무거워지고 북한의 현행 비행체로는 발사가 어려울 것이기 때문에 비행체에 관한 협력은 별도로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

북한은 미중 갈등,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흔들리는 국제질서의 격차를 교묘하게 활용하고 있다. 냉전시대 핵협력보다 더 위험할 수 있는 긴밀한 접촉을 경계해야 한다.

박민희 논설위원 [email protected]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1109012.html한국어 원문 입력 : 2023-09-18 18:42
옮긴이: HJ

lyon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