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b Walk]@한국정치연구 기미야 마사시 교수의 민주화운동이 연구의 원천이다 – 도쿄대학신문온라인

기미야 마사시 교수(도쿄대학교 인문과학대학원)는 한국과 한반도의 정치와 국제관계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그에게 현재 연구 분야에 어떻게 오게 됐는지, 군사독재 시절 한국에서 유학하면서 어떤 경험을 했는지, 그의 연구가 갖는 의미는 무엇인지, 한국 유학을 원하는 학생들에게 어떤 메시지를 주는지 물었다.(쿠와하라 히데아키 인터뷰)

기미야 다다시 교수
(도쿄대학교 예술과학대학원)
1993년 도쿄대학 법학대학원 박사과정을 중퇴했다. 고려대학교 정치외교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정치학 박사. 도쿄대학교 인문과학대학원 조교수를 거쳐 2010년 현재의 직위를 맡았습니다.

연구의 근원으로서의 민주화 운동

—재학 중 학문적 관심분야와 중점적으로 공부한 내용을 알려주세요.

2학년 여름학기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국제정치를 가르쳤던 사카모토 요시카즈 교수님의 코마바 세미나에 참석했는데, 그것이 제가 연구자로서의 길을 걷게 된 전환점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세미나는 칼 만하임의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를 낭독하고, 마지막에는 “정치에서 유토피아는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라는 주제로 각 학생의 강의를 진행했고, 거기서 사카모토 교수님의 영향을 받아 국제학을 전공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정치 공부.

사카모토 교수는 당시 우리가 개발도상국이라고 부르는 “제3세계”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나는 흔히 국제정치와 결부되는 미국과 소련의 냉전 등 강대국 관계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말하자면 ‘주변부’에서 국제정치를 바라보고 싶었다.

칼 만하임,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 다카하시 도루, 도쿠나가 쓰요시 역, 중앙공론신사

──국제정치 분야에서는 한국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계십니다.

지금은 상상하기 힘들지만, 제가 학생이었던 1980년 무렵, 한국은 여전히 ​​군사독재 하에 있었습니다. 정치학의 한 가설은 경제가 발전하면 정치도 민주화로 나아갈 것이라는 가설인데, 한국은 예외였다. 나는 한국 경제가 NIC(구 NIE)라고 불릴 정도로 발전했지만 여전히 군사 독재를 유지하고 있는 이른바 ‘개발 독재’ 체제를 분석하는 데 관심을 갖게 됐다.

그러나 나는 이 체제가 개별 국가로서의 한국의 문제라기보다는 한국이 냉전 시대의 국제 체제나 글로벌 자본주의 체제에 내재되어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한국이 국제 역학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살펴보면서 냉전 체제와 자본주의 체제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한국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습니다.

당시 저는 사카모토 교수님의 제자이신 선생님이 계셔서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유학 중이었습니다. 당시 독재체제였음에도 불구하고 좋은 연구가 많이 나오고 있어서 끌렸어요.

대학 내에서는 거의 매일 시위가 있었고, 마치 최루탄이 캠퍼스 전체에 뿌려지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이번 사태를 통해 제가 배운 것은 정치는 국민의 힘으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당시 일본은 자민당이 주도하는 일당 체제여서 정치는 절대 안 바뀔 것 같았는데 한국은 달랐다.

학생들과 시민들이 시위에 참여하고 진압경찰이 진군하고 최루탄을 뿌리는 등 한국 정치는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다. 이는 결국 1987년 ‘민주선언’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가 도입되는 계기가 됐다. 이러한 상황을 직접 경험한 기회는 내가 한국정치 연구를 계속하는 원동력이다.

-민족주의로 본 남한과 북한의 현대사(고단샤)에서 한국은 ‘국제정치의 축소판’이고, 한 나라의 역사는 바로 ‘국제정치의 역사’라고 하셨다. 동아시아 관계.”

민주화와 외교기록 출판의 증가는 무엇보다도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를 한국의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한국의 외교기록의 활용을 가능하게 했다.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전통적인 강대국 중심의 냉전 해석과는 달리, ‘주변부’의 관점에서 냉전사와 동아시아 국제관계사에 주목했다. 한국과 한반도의 입장에서 보면, 한국은 일제 강점기에서 벗어나자마자 미국, 소련, 중국과 깊은 갈등 관계에 빠졌다.

기미야 마사시 “민족주의의 관점에서 본 남북한의 최근 상황”
다이시’ 고단샤 세금포함 2420엔

──앞으로의 연구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

나는 현재 북한을 포함한 한반도의 정치 연구를 통해 정치학 전반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집필하고 있다. 그러면 나는 195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현대사를 통해 한반도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전반을 실증적으로 재고하는 작업을 하고 싶다.

──한국학을 공부하고 싶은 학생들에게 메시지를 보내주세요.

한국과 한반도는 일본에게 여전히 중요하지만, 최근 들어 그 사실에 대한 인식이 약해지고 있는 것 같아요. 일본과 한국은 비슷한 국력과 비슷한 수준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양국 간 비교는 앞으로 더욱 유망한 분야가 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Elite Bos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