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과학기술 경쟁력이 처음으로 중국에 역전됐다 | 중앙일보 | 중앙일보

ⓒ 중앙일보/중앙일보 일본어판2024.03.01 08:06

국가 경쟁력의 척도인 11개 핵심 과학기술 분야에서 한국의 기술 수준이 처음으로 중국을 앞질렀다. 특히 항공우주·해양학, 첨단생명공학, 차세대 원자력 분야에서는 한국이 주요 5개국 중 최하위에 머물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달 29일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회 운영위원회 회의를 열고 11개 전공 136개 핵심기술을 비교평가한 ‘2022년 기술수준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을 포함한 주요 5개국의 들판. ‘가 출시되었습니다. 정부는 과학기술기본법에 의거 한국, 미국, 중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5개국의 핵심 과학기술을 2년마다 비교평가하고, 이 정보를 활용한다. 정책에 대한 참조로. 이는 각국에 등록된 논문 및 특허를 바탕으로 한 정량적 요소와 국내 전문가 1,36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정성적 요소를 조합한 결과이다.

한국의 과학기술 수준은 81.5%로, 미국은 100%로 세계 1위를 기록했다. 유럽연합(EU)이 94.7%, 일본이 86.4%, 중국이 82.6%를 차지했다. 2020년 가장 최근 평가에서는 한국이 80.1%로 중국(80%)보다 약간 앞서 있었다.

그러나 지난 2년 동안 상황은 역전됐다. 중국이 한국을 추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36개 핵심기술 중 미래산업을 결정할 ‘국가전략기술’ 50개에 대해서는 중국과 한국의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중국의 비율은 86.5%로 한국(81.7%)은 물론 일본(85.2%)을 앞질렀다.

과거 추이를 살펴보면 한국의 과학기술 수준은 보합세, 중국은 성장세, 일본은 하락세로 요약할 수 있다. 한국의 시청률은 2020년 80.1%에서 2022년 81.5%로 1.4%포인트 상승했고, 같은 기간 중국의 시청률은 2.6%포인트 상승했다. 2012년 기준으로는 일본이 93.4%, 한국이 77.8%, 중국이 67%였지만, 약 10년 만에 중국은 과학 강국이 됐다.

전기차(EV) 배터리 등 2차전지 분야에서는 한국의 기술력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고 수준이고,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도 선두를 달리고 있다. 다만 항공우주·해양, 첨단생명공학, 양자기술, 차세대 원자력 등은 최하위에 머물렀다. 첨단 모빌리티와 로봇, 인공지능(AI) 분야의 기술 역량도 쇠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치적으로 수치화한 기술 수준은 큰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과학 인프라와 연구 지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전문가 평가에서는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세대 원전의 경우 한국과 중국 모두 83% 수준이지만 미국을 따라잡는 데는 각각 5년, 4.5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기술력은 비슷한 수준이지만 앞으로는 중국이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첨단바이오 분야에서도 한국·일본·중국이 78.1%로 같은 비율을 기록했지만, 일본과 중국은 2.6년, 한미는 3.1년의 격차가 있었다.

11개 주요 분야를 보면 2020년 대비 9개 분야에서 한국의 기술 수준이 향상됐다. 다만 ‘항공우주/해양’과 ‘정보통신기술(ICT/SW)’ 2개 분야에서는 가격이 하락했다. 두 분야가 미래산업으로 선정됐다.

이에 대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매우 까다로운 기술을 새로운 평가 대상에 포함했기 때문”이라며 “우주관측 감지, 달착륙, 표면탐사부터 첨단기술까지”라고 덧붙였다. 인공지능(AI) 인프라. 어렵더라도 반드시 갖춰야 할 필수 기술이다.” 이창진 건국대 기계항공우주공학부 교수는 “한국은 우주개발에 연구개발(R&D) 관점으로 접근한다”고 말했다. ) 그러나 미국과 중국은 이를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에 그대로 놔둘 수는 없다”며 “그렇게 하면 우리는 앞으로 20~30년은 더 뒤쳐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lyon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